[앵커]
우리 정부는 상호관세가 발표되기 직전인 어젯밤(8일)에서야 트럼프 대통령과 처음으로 통화를 했습니다. 이 통화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과 관세뿐 아니라 방위비 분담금 등 여러 문제에 대해 이야기했다고 밝히며 아예 "원스톱 쇼핑"이라고 못 박았습니다. 관세 협상이 안보와 산업 등 여러 문제와 복잡하게 맞물리게 된 겁니다.
워싱턴에서 정강현 특파원입니다.
[기자]
국가별 상호관세가 발효되기 16시간 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트럼프 대통령과 약 28분 간 전화 통화를 했습니다.
특히 '한국에 제공하는 군사 보호 비용'을 거론하며 방위비 분담금 문제를 논의 테이블에 직접 올렸습니다.
한미는 지난해 10월, 2026년부터 적용되는 방위비 분담금을, 전년 대비 8.3% 인상한, 약 1조5000억원으로 합의한 바 있습니다.
사실상 이 합의를 깨고, 재협상을 시사한 걸로 풀이됩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2024년 10월) : 내가 백악관에 있다면 한국은 (주한미군 주둔 비용으로) 연간 100억 달러를 내야 할 겁니다. 한국도 흔쾌히 그렇게 할 거예요. 한국은 부자나라니까요.]
연간 100억 달러는, 현 방위비의 10배, 우리 돈 14조원에 달하는 막대한 비용입니다.
결국 상호관세 발효가 임박한 시점에, 방위비 재협상과 알래스카 사업을 비롯한 대규모 투자를 압박하고 나선 셈입니다.
한 대행은 이런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에 "적극 협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덕수/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 : 우리는 이번 사안에 대해 매우 협조적인 자세를 취할 것이고 대화를 촉진해 나갈 것입니다.]
정부는 현지 시각 어제 미국을 방문한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을 주축으로, 본격적인 관세 협상에 돌입했습니다.
[영상취재 조셉리 / 영상편집 지윤정]
정강현 특파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