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 10일부터 미국산 제품 관세 50%p 추가키로
미국, 9일부터 중국산 제품에 104% 추가 관세…中 대응
中 정부 “끝까지 동행” 경고, 시 주석 주변국 외교 강조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AF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9일 중국 상무부와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에 따르면 10일 오후 12시 1분부터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종전 34%에서 84%로 인상한다.
중국은 이달초 미국의 상호관세(중국 34%)에 대응해 34%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이에 미국측이 추가로 50%의 추가 관세를 더하자 중국 역시 추가 관세 50%를 적용하며 맞불을 놓은 것이다.
이날 0시 1분(한국 시각 9일 오후 1시 1분) 중국 등 세계 각국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가 정식으로 발효됐다. 중국에는 총 104%에 달하는 추가 관세를 부과했다.
중국 상무부는 중화인민공화국 수출통제법과 이중 용도 품목의 수출 통제에 관한 중화인민공화국 규정 및 기타 관련 법령에 따라 국가 안보와 이익을 수호하고 비확산 등 국제적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12개 미국 기업을 수출 통제 목록에 포함시킨다고 이날 밝혔다.
12개 대상은 포토닉스, 노보텍, 에코다인, 마빈엔지링컴퍼니, 엑소베라 등이다. 이들 기업에 대해선 군사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이중 용도 품목의 수출을 금지한다. 현재 진행 중인 수출 활동은 즉시 중단토록 했다. 특별한 상황에서 수출이 필요하다면 상무부에 신청을 해야 한다.
또 중화인민공화국 대외무역법,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보안법, 중화인민공화국 반외외제재법 및 기타 관련 법률에 따라 쉴드AI, 시에라 네바다 코퍼레이션 등 6곳을 신뢰할 수 없는 기관 목록에 포함했다. 이들 6개 기업은 중국 관련 수출입 활동 및 중국 신규 투자가 금지된다.
중국 국무원 신문판공실은 이날 ‘중미 경제무역 관계에 관한 약간의 문제에 대한 중국 측 입장’이라는 백서를 발표하고 “중국 정부는 중국인들의 정당한 권익이 침해되고 박탈되는 것을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백서는 “중국은 일방적으로 무역흑자를 추구하지 않는다”면서 “중미 교역액은 지난 1979년 25억달러 미만에서 2024년 6883억달러로 급증했지만 최근 몇년간 미국의 일방주의와 보호주의가 대두되면서 양국 간 정상적 경제 및 무역 협력이 심각하게 방해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상품 무역과 서비스 무역, 양국 기업의 현지 매출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양국 간 경제무역 관계는 대체로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이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와 제재를 지속하게 되면 대응책을 강구할 수밖에 없다는 게 중국측 입장이다. 상무부는 “중국은 무역전쟁을 할 의사가 없지만 결코 가만히 앉아서 권익이 훼손되고 박탈되는 것을 방관하지 않을 것”이라며 “미국측이 경제무역 제재를 더욱 강화하면중국은 확고한 의지와 풍부한 수단을 가지고 단호하게 대응하고 끝까지 동행할 것”이라고 전했다.
상무부는 “중국은 무역전쟁을 할 의사가 없지만 결코 가만히 앉아서 권익이 훼손되고 박탈되는 것을 방관하지 않을 것”이라며 “미국측이 경제무역 제재를 더욱 강화하면 중국은 확고한 의지와 풍부한 수단을 가지고 단호하게 대응하고 끝까지 동행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미국의 조치에 대응해 발언을 내놨다. 시 주석은 지난 8~9일 열린 중앙주변노동회의에서 “주변국과 미래를 공유하는 공동체를 건설하는 데 주력하고 주변국에서 새로운 국면을 만들어가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면서 주변국 외교에 공을 들이겠다는 방침을 시사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