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2 (화)

빈 컵 안 치우면 탈락?…아마존도 면접 때 본다는 ‘이것’ 뭐기에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마존 등 글로벌 기업 면접서 보는 ‘태도’

자신이 마신 컵을 치우는지가 중요

“사려 깊고 작은 일에도 신경 쓰는 모습”

[이데일리 강소영 기자] 일부 기업의 채용 면접에서 이른바 ‘커피잔 테스트’를 통해 구직자들의 태도를 평가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게티이미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6일(현지시간) 미국 경제 전문지인 포천은 최근 회계 플랫폼 제노의 전 전무이사를 지내고 현재 호텔 커머스 플랫폼 사이트마인더의 대표인 트렌트 이네스가 팟캐스트 ‘더 벤처스’를 통해 소개한 이 테스트를 보도했다.

이네스는 “지원자를 데리고 탕비실로 가서 커피를 마시다 면접장으로 컵을 가져가 면접을 본다”며 이를 ‘커피잔 테스트’라 부른다고 했다.

여기에서 커피를 블랙으로 마실지 설탕을 넣어 마실 지는 채용 결과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커피 대신 물이나 차를 마셔도 상관없다.

다만 면접이 끝날 때 해당 지원자가 자신이 마신 컵을 탕비실로 다시 가져가는 지 여부를 확인한다고 한다. 직무에 적합한 지원자라도 면접장에 사용한 컵을 그대로 두고 간 사람은 채용 관리자로부터 회신받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이네스는 “기술은 개발할 수 있고, 지식과 경험은 쌓을 수 있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건 태도”라며 “사용한 컵이나, 머그잔, 유리잔을 탕비실로 가져간다는 건 팀원으로서 사려 깊고, 작은 일에도 신경 쓴다는 걸 보여준다”고 밝혔다.

아마존, 시스코 등 글로벌 기업에서는 실제 태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같은 면접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마존 최고경영자(CEO)인 앤디 제시는 “훌륭한 태도를 지닌 사람이 얼마나 드문지 알면 놀랄 것”이라며 “태도가 큰 차이를 만든다”고 말했다.

시스코의 영국 CEO인 사라 워커도 “긍정적인 태도, 참여도, 에너지는 가르칠 수 없다”며 “이러한 특성을 직원을 채용하거나 내부에서 승진시킬 때 주의 깊게 살펴본다”고 설명했다.

이어 “경력이 짧을수록 이력서에 있는 내용보다 이러한 특성이 더 중요하다”며 “기술이나 경험보다 사람이 더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국제 임원 채용사 벤틀리 루이스의 CEO인 루이스 말레는 “이러한 작은 행동을 관찰해 공식적 질의응답으로 알 수 없는 사람의 특성을 알 수 있다”며 “(커피잔) 테스트에 실질적 가치가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이 테스트는 “한 조각일 뿐”이라며 “훌륭한 지원자여도 긴장할 수 있고, 익숙하지 않은 환경에서는 실수할 수 있다. 이를 추구하되 균형 잡힌 시각을 유지하라”고 밝혔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