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등 글로벌 기업 면접서 보는 ‘태도’
자신이 마신 컵을 치우는지가 중요
“사려 깊고 작은 일에도 신경 쓰는 모습”
(사진=게티이미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6일(현지시간) 미국 경제 전문지인 포천은 최근 회계 플랫폼 제노의 전 전무이사를 지내고 현재 호텔 커머스 플랫폼 사이트마인더의 대표인 트렌트 이네스가 팟캐스트 ‘더 벤처스’를 통해 소개한 이 테스트를 보도했다.
이네스는 “지원자를 데리고 탕비실로 가서 커피를 마시다 면접장으로 컵을 가져가 면접을 본다”며 이를 ‘커피잔 테스트’라 부른다고 했다.
여기에서 커피를 블랙으로 마실지 설탕을 넣어 마실 지는 채용 결과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커피 대신 물이나 차를 마셔도 상관없다.
이네스는 “기술은 개발할 수 있고, 지식과 경험은 쌓을 수 있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건 태도”라며 “사용한 컵이나, 머그잔, 유리잔을 탕비실로 가져간다는 건 팀원으로서 사려 깊고, 작은 일에도 신경 쓴다는 걸 보여준다”고 밝혔다.
아마존 최고경영자(CEO)인 앤디 제시는 “훌륭한 태도를 지닌 사람이 얼마나 드문지 알면 놀랄 것”이라며 “태도가 큰 차이를 만든다”고 말했다.
시스코의 영국 CEO인 사라 워커도 “긍정적인 태도, 참여도, 에너지는 가르칠 수 없다”며 “이러한 특성을 직원을 채용하거나 내부에서 승진시킬 때 주의 깊게 살펴본다”고 설명했다.
이어 “경력이 짧을수록 이력서에 있는 내용보다 이러한 특성이 더 중요하다”며 “기술이나 경험보다 사람이 더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다만 이 테스트는 “한 조각일 뿐”이라며 “훌륭한 지원자여도 긴장할 수 있고, 익숙하지 않은 환경에서는 실수할 수 있다. 이를 추구하되 균형 잡힌 시각을 유지하라”고 밝혔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