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이슈 긴급재난지원금

재난지원금 노렸나...산불 지역에 '전입신고'한 사람들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산불 이후 피해지역 '관외전입' 늘어나

경북도 재난지원금 발표 이후 전입신고 집중

[이데일리 김혜선 기자] 역대 최악의 산불로 수많은 피해를 입은 지역들에 최근 수상한 전입신고가 늘어났다. 산불 재난지원금 등 혜택을 노리고 피해 지역에 전입신고를 한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나온다.

화마 할퀴고 간 영덕 석리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9일 대구 경북 지역 방송인 TBC 보도에 따르면, 가장 큰 인명 피해가 발생한 경북 영덕 지역에서는 산불이 확산된 다음 날부터 일주일 간 관외 전입이 36건 발생했다. 영덕은 지난 2020년 9월 이후 53개월 연속으로 인구수가 줄었는데, 산불 피해 이후 인구가 오히려 늘어났다.

보도에 따르면, 전입신고는 경상북도가 지난달 28일 산불 피해 5개 시군 전체 주민에 재난지원금 30만원을 지급하겠다고 발표한 날부터 며칠 새 집중됐다. 일부 전입신고는 산불로 주택이 전소된 곳을 주소로 적기도 했다.

안동 역시 산불로 인한 재난지원금 지급 보도 이후 전입신고 3건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말 기준, 안동은 한달 새 340명, 의성은 15명의 인구 증가가 있었다. 이는 안동 5개월, 의성 17개월 만의 인구수 반등이다.

지역 당국은 3월 28일까지 피해 지역에 주민등록한 이들을 대상으로 재난지원금을 지급한다.

한편, 이번 산불로 피해를 입은 지역 주민을 돕기 위해 각종 도움의 손길이 모이고 이는 가운데 일부 시민은 사실상 사용할 수 없는 물건을 착불로 보내고 있는 일도 벌어지고 있다. 낡아 해진 옷, 기름때 묻은 국자 등 쓰레기와 다름 없는 물품을 착불로 보내는 이들이 있는 것이다. 경북 청송에는 이렇게 쓰지 못해 버려진 구호품이 11t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헌옷 상자를 ‘착불’로 배송 받은 청송군 한 비영리 단체는 TBC에 “쓰레기로 버리는 것들을 보내줬다”며 “진짜 눈물 나고 속상하다. 전부 다 착불로 보내 70만 원 넘게 나왔다”고 하소연했다.

이번 산불 사태로 전국에서 모인 성금은 1100억 원을 넘어섰다.

경북도에 따르면 산불 피해의 복구와 지원을 위해 전국에서 모인 구호 성금이 지난 7일 오후 기준 1124억 원으로 집계됐다. 2022년 동해안 산불 당시 성금 800억 원을 뛰어넘는 것으로, 역대 재난 구호 성금 모금액 중 최대 규모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