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의 1060일 ④ 결정적 장면 (하)
윤석열 전 대통령은 2022년 7월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이 국민의힘에서 축출되자 권성동 원내대표에 “내부 총질 하던 당 대표가 바뀌니 달라 졌습니다”란 내용의 메시지를 보냈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치 입문 9개월 만에 권력의 정점에 선 윤석열 전 대통령은 2년 11개월(1060일) 만에 물러났다. 결정적 몇 장면의 비하인드를 전한다.
#독이 된 벼락 성공
2022년 7월 26일, 국회 본회의장에 앉아있던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의 휴대전화 화면이 카메라에 잡혔다. 윤 전 대통령이 보낸 텔레그램 메시지 내용이었다. 약 2주 전 성 접대 의혹으로 징계를 받고 국민의힘 대표직에서 축출됐던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지난해 9월 무혐의 처분)에 대한 윤 전 대통령의 속내가 처음 공개됐다.
윤 전 대통령은 당연한 듯 당무에 직·간접적으로 개입했다. 이른바 ‘윤심 논란’은 윤 전 대통령 재임 기간 벌어진 전당대회에서 매번 반복됐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2023년 12월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에 취임하며 정치에 입문했다. 이때도 “동훈이가 아니면 총선에서 쉽지 않다”는 윤 전 대통령의 입김이 가장 크게 작용했다. 당시 대통령실에 있던 한 전직 수석은 “호랑이 새끼를 키우는 것이라 반대하는 이도 많았다”고 했다.
#영수회담 뒤, 국회 발길까지 끊었다
한 전직 대통령실 참모의 말이다. 1997년~1999년 성남지청 검사로 근무했던 윤 전 대통령은 당시 성남시 변호사로 활동했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9일 대표직 사퇴)를 꽤 오래전부터 알고 있었다. 윤 전 대통령은 영수회담을 제안하는 참모들에게 이 전 대표의 과거 이력 등을 직접 표로 그리며 “내가 왜 이런 사람과 만나야 하느냐” “범죄 피의자 아니냐”고 반박했다.
그랬던 윤 전 대통령이 지난해 4월 총선 참패 뒤 돌변했다. “정치하는 대통령이 되겠다”며 갑작스레 영수회담을 추진했다. 참모들에게 “이 대표 번호를 저장해뒀다. 언제든 전화해 국정을 논의할 것”이라는 말도 했다.
2024년 4월 29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윤 전 대통령과 이 전 대표의 처음이자 마지막 회담이 열렸다. 이 전 대표는 당시 윤 전 대통령 집무실에 앉자마자 “오다 보니 20분 걸리는데, 실제 오는 데는 700일”이 걸렸다는 뼈있는 말을 던졌다. 이어 “듣기 거북하실 텐데”라며 A4용지 10장 분량의 모두발언을 15분간 읽어내려갔고 윤 전 대통령의 얼굴은 굳어졌다. 윤 전 대통령이 상상했던 협치의 모습과 실제 만남 사이엔 괴리가 있었다.
■ ※ 이 기사의 전문은 더중앙플러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막내급 기자가 청담동 술자리 질문…尹, 그날 도어스테핑 좌절" ④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374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066
"내가 있어 지금의 尹 있다고…김건희, 술자리 때마다 말해" 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6699
총선 출구조사에 격노한 尹 "그럴 리 없어! 당장 방송 막아!" 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6454
박태인 기자 park.taein@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