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대선 이재명 유리하나
상당한 변동성 잠재돼 있어
윤·외부 세력 개입 없이
국힘 경선 성공하고
‘이재명 함정’ 안 빠지면
극적 역전승도 가능하나
조건 하나만 안 맞아도
역사적 대패의 길 갈 것
그러나 국힘 입장에서도 포기하기엔 이른 감이 있다. 무엇보다 이재명 전 대표의 득표 기반이 제한적이다. 이 전 대표 한 사람에 대한 비호감도는 여론조사마다 늘 60% 안팎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런 경우엔 득표의 확장성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지난 2월 한국갤럽 조사에서 ‘이 전 대표를 대통령으로 적극 지지한다’가 26%였는데, ‘절대 지지하지 않는다’가 41%로 나타났다. 다른 조사에서 이 전 대표에 대한 비호감도는 61%였다.
1987년 직선제 도입 이후 대선에서 50% 이상 득표한 사람은 한 명(박근혜·51.5%)뿐이었다. 이 전 대표는 2022년 대선 때 47.8%를 얻었다. 이 전 대표에 대한 비호감도가 단시간에 바뀌기 힘들다는 점에서 이번 대선에서도 이 전 대표는 47~51%가 득표 한계일 가능성이 있다. 만약 이번 대선이 국힘 후보 대 이 전 대표의 양자 대결로 치러지면 국힘 후보가 윤 전 대통령처럼 0.7% 정도로 근소하게나마 승리할 여지가 전혀 없지는 않다는 뜻이다.
그러려면 몇 가지 전제 조건이 충족돼야 한다. 우선 국힘 내부 경선이 큰 잡음 없이 마무리되고 당선된 후보를 다른 주자들이 성심껏 도와야 한다. 한국 정치에서 이는 거의 없었던 일이다. 특히 국힘에서 그랬다. 만약 국힘이 이 허들을 넘는다면 대선 승부는 어느 정도 해볼 만하게 바뀔 것이다.
보수 측 후보의 단일화도 필요하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와의 통합이 결국 중요한 과제로 등장할 것이다. 최근 한 여론조사에서 이 전 대표와 국힘 후보, 이준석 후보와의 3자 대결 때 이준석 지지율은 9%였다. 실제 대선에서 9% 아닌 2~3%라고 해도 승부를 가를 수도 있는 수치다.
2007년 ‘이명박 대 정동영’ 대선이 지금과 유사한 면이 있다고 생각한다. 당시 선거도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여론 반감이 높은 상황에서 치러졌다. ‘노무현에 반대되는 것은 뭐든 좋다’는 정도였다. 진보 측 정 후보는 노무현과 차별화를 안 할 수도, 할 수도 없는 어정쩡한 입장에서 선거에 임해야 했다.
정 후보는 결국 이명박 후보에 대한 네거티브에 집중했다. 정 후보 측 선거 전략은 BBK 의혹으로 시작해 그것으로 끝났다. 국회를 방문한 이 후보에게 민주당 당직자가 침을 뱉는 극단 행동까지 할 정도였다. 선거 결과는 이명박 후보가 531만표(22.5%포인트) 차이로 승리했다. 1987년 이후 지금까지 우리 대선 역사상 최대의 표 차였다.
이번 대선에서 국힘이 기댈 수 있는 언덕은 이재명 전 대표에 대해 요지부동인 국민적 비호감도이다. 반면 국힘에 가장 힘든 부분은 정권 교체 여론이 정권 유지 여론보다 압도적(20%포인트 정도)으로 높다는 점이다. 이런 면에서 이번 대선은 양극단을 왔다 갔다 하는 변동의 잠재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다만 국힘엔 바늘구멍이고, 이 전 대표에겐 넓은 문이다.
매일 조선일보에 실린 칼럼 5개가 담긴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세상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5분 칼럼' 구독하기
[양상훈 기자]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