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국무원 신문판공실은 9일 『중미무역관계의 약간의 문제에 관한 중국의 입장』이라는 제목의 2만8000자짜리 백서를 내놨다. 중국 상무부 관계자는 “중국은 의도적으로 흑자를 추구하지 않았으며, 중국의 경상수지 흑자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2007년 9.9%에서 2024년 2.2%로 떨어졌다”며 미국의 관세 조치에 반박했다. 또 “중국의 전체 관세 수준은 2001년 15.3%에서 9.8%로 낮아져 선진국의 평균 세율 9.4%에 근접하다”며 “WTO의 각종 보조금 규율을 엄격히 준수하고, WTO에 보조금 실태를 통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시진핑 주석은 주변국 외교를 다루는 최고 레벨의 회의를 소집했다. 리창 총리가 사회를 보고 상무위원 7명 전원이 참석한 ‘주변공작회의’에서 시 주석은 “주변국 운명 공동체 구축에 집중하고, 주변국 업무의 새로운 국면을 열어가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진핑이 직접 ‘관세전쟁’을 챙기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중국은 지난 4일 추가관세 외의 보복 조치로 희토류 수출통제, 군수기업 제재, 수수·가금육 기업 일부에 대한 수출 자격 정지 등을 발표했다. 특히 제련공정, 즉 가공과 정제 희토류도 중국 국유 대기업에 한해서만 생산을 허가하기로 하면서 희토류 원석뿐 아니라 1,2차 가공 희토류까지 수출 통제 대상으로 확대했다. 미국이 희토류 수입은 물론, 제련까지도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을 역으로 이용해 공세에 나선 것이다.
미국의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가 초래한 가파른 물가 상승도 예견되고 있다. NBC는 중국은 지난해 미국에 105억5000만 달러(약 15조 5739억)의 장난감을 수출했다. 미국 장난감협회는 “미국산 장난감 총수입품의 약 80%에 달하는 규모”라며 “장난감 업체들이 소매상들과 가격를 다시 협상 중”이라고 설명했다. 아이폰 역시 전체 출하량 중 90%가 중국에서 생산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확대 의향을 내비쳤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이 EU의 상호 무관세 제안을 거부하며 “그들(EU)이 우리에게서 에너지를 더 구매해야 할 것”이란 말에 반응하며 협상 의지를 내비친 것이다.
베이징·도쿄=신경진, 김현예 특파원 shin.kyungjin@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