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유홍준의 문화의 창]겸재 정선, 사상 최대의 진경산수전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겸재 정선 '연강임술첩' 중 '우화등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겸재 정선 '압구정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겸재 정선 '금강전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유홍준 본사 칼럼니스트·명지대 미술사학과 석좌교수


지난 3일, 용인의 호암미술관에서는 조선시대 가장 위대한 화가의 한 분으로 조선적인 산수화를 개척한 겸재 정선(1676〜1759)의 사상 최대 회고전이 개막되었다(6월 29일까지). 이번 '겸재 정선' 전은 삼성문화재단 창립 60주년을 맞이하여 호암미술관이 간송미술관과 공동주최로 국립중앙박물관을 비롯한 18개 박물관과 개인 소장의 명품들을 총동원하여 국보 2건, 보물 7건(57점)을 포함한 총 165점을 한 자리에 전시한 것이다. 꿈의 전시회만 같던 것을 살아생전에 볼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 눈물겹도록 행복하기만 하다. 내년은 겸재 탄생 350주년 되는 해이다.

겸재 탄생 350년 만의 대 회고전

조선 산수화인 진경산수 창시자

호암·간송·국박·개인 소장품 망라

조선 회화 완성한 K아트의 뿌리

'겸재 정선' 전 제1부 전시장 전경.[사진=호암미술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보로 지정된 '금강전도', '인왕제색도'로 잘 알려져 있듯이 겸재 정선은 우리 산천의 아름다움을 진경산수(眞景山水)라는 하나의 장르로서 확립한 거장이다. 겸재 정선의 회화사적 위상은 관아재 조영석이 그의 '구학첩'에 쓴 발문에 명확히 밝혀져 있다.

겸재 정선 '인왕제색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겸재는 진경산수만 잘 그린 것이 아니었다. 옛이야기를 그린 고사도(故事圖), 유명한 시를 그림으로 풀이한 시의도(詩意圖), 새와 꽃을 그린 화조도(花鳥圖)에서도 아름답고 사랑스러운 작품을 많이 남겼다. 특히 겸재는 '노송영지도'처럼 조선소나무의 늠름한 자태를 즐겨 그렸고, 중국풍의 관념산수에서 등장인물을 여지없는 조선인으로 바꾸어 '송음납량도' 같은 통쾌한 작품을 남겼다. 이는 조선적인 정형산수의 창출이라 할 만한 것이다. 전시장 2층에는 겸재의 다양한 회화 세계와 함께 겸재 이후 단원 김홍도 등 후대 화가들이 이를 이어받아 조선시대 회화의 황금기를 맞이하는 모습이 장대하게 펼쳐져 있다.

중앙일보

겸재 정선 '송음납량도'




전시회를 다 보고 나오자니 지금 우리의 K아트가 세계로 펼쳐 나아가고 있는 힘의 뿌리는 결국 겸재로부터 비롯되었다고 하여야 마땅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나는 겸재 선생에게 한없는 존경과 함께 내가 보낼 수 있는 최대의 찬사와 감사를 올렸다.

유홍준 / 본사 칼럼니스트 · 명지대 미술사학과 석좌교수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