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이 본 ‘트럼프 관세’ 대응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문가들은 이번에 SMA 협상이 재개될 경우 이전처럼 분담금 인상 폭 등 세부 사항을 놓고 줄다리기하기보다는 줄 건 과감하게 주고 받을 건 확실히 받아내는 ‘윈윈(win win)’ 전략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취임 초 경제적 성과를 과시하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체면을 살려주면서도 전략적 차원에서 한미 동맹을 강화하고 국가적 실리도 챙겨야 한다는 것이다.
트럼프 1기 때 대미 협상을 했던 윤강현 전 외교부 경제외교조정관은 “부문별 접근을 하기보다는 정상급에서 모든 거래 가능한 카드를 다 올려놓고 ‘톱 다운’ 식으로 줄 건 주고 받을 건 받는 통 큰 결정을 내리는 것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유효할 것”이라고 했다.
우리 정부의 목표는 현재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최대한 ‘사수’하는 것이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9일 국회 산자위에서 “협상을 통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은 유지해야 된다”고 했다.
그래픽=김현국 |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원스톱 쇼핑’을 언급한 만큼, 방위비 문제를 관세·무역 등 다른 사안과 같이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방위비 전액 부담’ 카드도 이런 맥락에서 언급됐다.
송민순 전 외교부 장관은 “트럼프가 체스판을 들고 나오면, 우리는 장기판을 들고 나가서 실리를 얻어야 한다”며 “분담금을 전액 우리가 부담하고, 한미 원자력 협정을 개정해 최소한 일본처럼 우라늄 농축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현재 한국은 우라늄 농축의 경우 20% 미만으로만 한미 간 협의를 거쳐야 할 수 있는데, 이를 미·일 원자력 협정처럼 20% 이상 농축도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윤강현 전 조정관은 “각 부처가 각개격파식으로 대미 협상을 하면 트럼프 행정부에서는 백전백패”라면서 “트럼프 1기 때도 한국 정부는 방위비를 비롯해 미국의 대이란 제재 면제 문제 등과 관련해 미국 각 부처와 합의 틀을 다 짰다가 트럼프 대통령이 막판에 흔들어 곤욕을 치렀다”고 했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이날 CNBC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협상 등을 직접 챙길 것”이라고 말했다. 캐럴라인 레빗 미 백악관 대변인도 이날 “해외 주둔 미군과 해외 원조가 무역 협상의 일부가 될 수 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에서 각 나라의 사정에 따른 맞춤형 접근 방식을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 양국은 지난해 10월 2026년부터 5년간 한국이 부담할 주한 미군 방위비 분담금 협상을 타결했다. 총 8차례 협상 끝에 2026년 분담금 총액은 2025년 대비 8.3% 증가한 1조5192억원으로 결정됐다. 이는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의 약 0.06%에 해당한다. 당시 정부 관계자는 “분담금은 미군 인건비를 제외한 주한 미군 주둔비 총액의 약 40%에 해당한다”고 했는데, 계산 방식을 달리하면 50%를 넘는다는 관측도 있다. 일본은 70% 수준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초 소비자가 백화점·대형 마트 같은 한 장소에서 여러 상품을 한 번에 구매하는 것을 뜻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한국 관세 협상과 관련해 ‘원스톱 쇼핑’을 거론한 것은 관세 협상 과정에서 방위비 분담금 인상, 미국산 에너지 수입 확대, 비관세 장벽 철폐 등 그간 미국이 요구해 온 여러 사안을 동시에 해결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하원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