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9 (화)

트럼프가 던진 관세 폭탄, 국내 수출 상장사 영향은?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박세영 나이스신용평가 기업평가본부 기업평가1실장. /사진=김창현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나이스신용평가가 9일 '변화된 미국의 통상정책 방향과 한국 수출산업' 세미나를 진행했다. 산업별 관세정책이 미칠 영향을 주제로 발표를 맡은 박세영 나이스신용평가 기업평가본부 기업평가1실장은 "미국이 부과한 상호관세안이 국내 자동차, 반도체, 전자제품 등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박 실장은 "특히 자동차산업은 미국 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경쟁사 대비 미국 내 생산비중은 상대적으로 낮다"며 "현대차 그룹을 기준으로 본다면 대미 판매물량 170만대 중 101만대가 관세부과 위험에 노출됐다"고 했다.

메타플랜트 등 미국 내 현지 공장 증설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현지생산을 120만대까지 확대할 계획이지만 증설 이후에도 50만대는 관세에 노출될 것으로 예상했다. 현지 공장 증설을 위해 210억달러 투자계획을 발표해 재무부담도 늘어날 것으로 봤다.

2차전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전기차 전환 속도 조절과 비우호적 업황 이중고에 처해있다고 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자국 자동차 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의도적으로 전기차 지연 정책을 펼치고 있다"며 "전방산업이 부진하며 수요 둔화가 계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2차전지 셀메이커 기업보다 미국 내 생산비중이 낮은 소재기업이 관세부과에 따른 영향이 더욱 클 것으로 내다봤다. 가능성은 낮지만 AMPC(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가 폐지될 경우 2차전지 기업 영업실적이 큰 폭으로 저하될 수 있다.

반도체 산업에 있어서 미국 자국 제조역량이 부족한만큼 향후 품목별 관세부과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당분간 HBM(고대역폭메모리) 등은 한국과 대만 기업이 생산을 담당하겠지만 미국은 전세계에서 반도체를 가장 많이 수입하는 국가 중 한곳이라는 점에서 향후 자국 내 반도체 제조역량을 강화할 가능성이 높다.

미국이 중국을 상대로 반도체 규제정책을 이어가고 있어 생산라인을 해외에 가지고 있는 국내기업들이 제한적으로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에서 NAND(낸드) 45%를 SK하이닉스는 중국 우시에서 DRAM(디램) 40%를 생산하고 있다.

반면 조선업은 낙관적으로 봤다. 미국 조선 능력이 크게 쇠퇴한 상황에서 단기적으로 한국, 일본 등 동맹국과 공조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국은 글로벌 LNG(액화천연가스)선에서 68%에 달하는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고 탱커선에서도 수주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석유화학 부담 올해도 지속…소형 증권사 특화영역 구축해야

이어 미국 우선주의와 중국 공급과잉에 직면한 국내 주요그룹 이슈를 주제로 발표를 맡은 최재호 나이스신용평가 기업평가본부 기업평가2실장은 "국내 대부분 그룹들이 중국 공급과잉과 내수부진으로 실적둔화가 이어지고 있다"며 "LG그룹은 전자와 통신을 제외하고 석유화학, 2차전지 전망을 부정적으로 본다"고 밝혔다.

2차전지를 중심으로 대규모 투자가 이어지고 있어 지난해 그룹 총차입금은 66조원으로 증가했다. 특히 석유화학 실적부진이 장기화되고 있어 신용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했다.

SK그룹에 대해서는 반도체부문 실적 반등을 토대로 그룹 전반에서 이익창출력이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비주력사업 매각을 통해 재무부담은 완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포스코그룹은 상사부문을 제외하고 주력인 철강과 신규산업인 2차전지 소재부문 전망을 부정적으로 내다봤다. 최 실장은 "그룹 영업이익률이 2008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낮아진 상황"이라며 "미국 관세부과로 당분간 이익창출력 개선은 제한될 것"이라고 밝혔다.

마찬가지로 중국과 중동 지역 공급과잉으로 석유화학산업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롯데그룹도 이익창출력이 크게 위축된 상황이다. 적극적으로 재무개선을 추진하고 있는만큼 올해 재무부담은 다소 완화될 수 있지만 롯데건설의 과중한 우발채무가 재무위험을 확대할 수 있다고 했다.

한편 대형 증권사와 달리 수익성이 저하되고 있는 중소형증권사는 대형사와 차별화되는 특화 영역을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고 했다. 수익성 저하 외에도 그간 중소형 증권사들 먹거리였던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건전성 규제도 부담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봤다.

김창현 기자 hyun15@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머니투데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