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재무 모호한 답변에 정보 파악 분주…백악관 "두 나라 현상 변경 없어"
배송 준비 중인 캐나다 합판 |
(멕시코시티=연합뉴스) 이재림 특파원 = 미국과 국경을 맞댄 '이웃' 멕시코와 캐나다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오락가락 관세 정책에 큰 혼란을 겪었다.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에 근거해 확보했던 '관세 무풍' 우대 조처가 없던 일로 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까지 한때 제기됐지만, 백악관은 "두 나라의 경우 현상 변경이 없다"며 서둘러 교통정리를 했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은 9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90일 유예 발표 직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멕시코와 캐나다가 10% 기본 관세 부과 적용 대상국 목록에 포함되는지'에 대한 취재진 질의에 "네"(Yes)라고 답했다.
이 매체는 상황을 '뒤죽박죽'이라고 표현하면서 "혼동을 일으키는" 미국 정부를 성토했다.
8일(현지시간) 뉴욕 식료품점에서 멕시코산 아보카도 고르는 주민 |
앞서 미 백악관은 2일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방침 발표 이후 홈페이지에 게시한 설명 자료('팩트 시트')에서 "캐나다와 멕시코의 경우 USMCA 기준에 맞는 제품은 무관세 적용을 유지한다"면서, 펜타닐 유입·이민자 흐름을 적절히 억제하지 못한 '귀책'과 연관된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 명령(25% 관세 부과)은 유효하다고 적시했다.
이 때문에 멕시코에서는 이날 나온 10% 기본 관세와 IEEPA에 근거한 25% 관세 사이에서 '정확한 부과 비율'에 대한 세부 사항을 알기 위해 미국 측 당국자 접촉에 안간힘을 썼다고 현지 매체들은 전했다.
갑작스러운 관세정책 변경과 관련, 미 행정부는 베선트 장관 발언 이후 2시간여 뒤에 "현재 캐나다와 멕시코산 제품에 적용되는 관세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백악관 관계자는 "멕시코와 캐나다의 경우 USMCA에 적용받지 않는 물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가 유지된다"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은 보도했다.
캐나다 CBC뉴스는 "오늘은 혼돈을 겪은 하루였다"면서 "미 당국의 번복 속에, 캐나다와 멕시코에 새로운 소식은 없다"고 꼬집었다.
walden@yna.co.kr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