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에 보복하지 않고 관세 인하를 요청한 국가들과 무역 합의를 협상할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호관세를 90일 유예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9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90일 유예 발표 직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주식시장 급락 때문에 상호관세를 유예했냐는 질문에 "아니다. 많은 요청이 있었고 75개가 넘는 국가가 우리를 접촉했기 때문이다"라고 답했습니다.
베선트 장관은 "각 국가에 대한 해법은 맞춤형으로 할 텐데 그건 시간이 약간 걸릴 것이며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에) 직접 참여하고 싶어한다. 그래서 90일 유예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상호관세 유예에 대해 "이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을 신경 쓰고 있으며 우리가 성의 있게 협상하고 싶어 한다는 신호를 보낸다"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관세 유예가 품목별 관세에도 적용되냐는 질문에 "아니다. 상호관세에 적용된다"고 답했습니다.
또 관세 유예가 캐나다와 멕시코에도 적용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유예를 통해 얻고자 하는 바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사업을 사례로 언급하고서 한국, 일본, 대만이 알래스카 LNG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대고 이 사업에서 채굴한 LNG 상당량을 구매하는데 관심을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무역 전쟁의 구도를 '전 세계 대 중국'으로 가져가느냐는 질문에 "난 무역 전쟁이라고 부르지 않지만, 중국이 확전했고,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매우 용감하게 대응했다. 그리고 우리는 교역 파트너들과 함께 해법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베선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유예를 발표한 것을 두고 "성공적인 협상 전략"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는 "오늘까지 기다리는 것은 대통령의 결정이었다. 내가 전에도 말했지만, 트럼프 대통령만큼 자신의 지렛대를 확보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전 세계 국가에 10% 기본관세(보편관세)를 부과하면서 한국을 비롯한 57개 무역파트너(56개국+유럽연합)에 10%보다 높은 상호관세를 부과했습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를 부과한 국가에도 90일 간 10% 기본관세만 부과하고, 중국에 대한 관세는 125%로 인상한다고 전격 발표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