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 가수 아이유가 출연한 우리은행의 퇴직연금 광고(위)와 지난해 2월 가수 임영웅이 기용된 하나은행 자산관리 광고. /우리은행·하나은행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은행들이 톱스타를 간판에 내세우며 마케팅 경쟁을 펼치고 있으나 연예인 광고 후 눈에 띄는 상품 판매 효과는 발생하지 않고 있다. 은행 내부에선 연예인을 내세워 반짝 관심을 끌 수 있으나 유의미한 성과를 내는지 의심스럽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전문가들은 스타 마케팅이 은행의 단기 성과로 직결되기보다 장기적인 이미지 구축에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10일 금융감독원 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해 광고선전비는 781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435억원 증가한 수치다. 최근 은행들은 광고 예산을 늘리는 가운데 1사 1모델에 그치지 않고 한 은행이 여러 연예인을 동시에 기용하는 멀티 캐스팅 전략을 취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축구국가대표 손흥민, 아이돌 안유진 등을 모델로 둔 채 올해 초 가수 지드래곤을 새로 영입했다. 우리은행도 가수 아이유, 아이돌 그룹 라이즈 등의 기존 모델진에 아이돌 아이브의 장원영을 추가했다.
은행들이 스타 마케팅에 거액의 돈을 쏟아붓고 있지만 이 전략이 매번 눈에 띄는 실적을 내지는 않는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4분기 중 아이유를 내세운 퇴직연금 상품 광고를 공개했다. 퇴직연금 실물이전이 처음 시행되는 시기로 전 금융사들이 퇴직연금 고객 뺏어오기에 심혈을 기울이던 때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4분기 동안 퇴직연금 적립금을 2조원 늘리는 데 성공했다. 다만 아이유 효과를 톡톡히 누렸다고 평가하긴 어렵다. 같은 기간 IBK기업은행은 스타 마케팅 없이 적립금 2조1000억원을 늘렸다. 두 은행의 성과를 비교하면 아이유 광고는 투입 비용 대비 효과가 크지 않은 마케팅이었다.
그래픽=정서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스타 마케팅 실효성에 대한 평가는 은행권 내부에서도 엇갈린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신상품 판매 실적이 광고 모델 덕분인지, 상품 혜택이 좋아서인지, 무 자르듯 엄밀히 구분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금융 상품 판매는 시장 상황, 재테크 트렌드, 각 은행의 사업 밀어주기 등 여러 요인이 동시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반면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홍보 연예인에 따른 광고 효과가 커 은행들의 광고비용이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김태호 기자(teo@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