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호제 셰프. |
(서울=뉴스1) 전호제 셰프 = 이제 먹는 당근보다 기업 '당근'을 많이 찾는다는 것을 인터넷 검색을 하면서 느꼈다. 마치 먹는 애플을 검색할 때와 비슷한 존재감의 차이랄까. 클릭 수의 차이를 보니, 앞으로 '채소 당근'이라는 검색어를 사용해야 할 것 같다.
당근 거래가 활성화되기 전부터 제주도에서 일했다. 전국 당근의 60%는 제주도에서 난다. 겨울부터 초봄까지 출하한다. 요즘처럼 꽃이 피면 관광객이 하나둘 늘어난다. 이때쯤 당근을 이용한 제철 메뉴를 만들었다. 직접 만든 당근주스, 당근케이크를 팔았기에 매주 한두 번 정도 농장에서 당근을 공급받고는 했다.
당근주스는 회전용 강판을 가진 대형 주서기를 이용했다. 당근 무게 대비 절반 이하의 수율로 주스가 나온다. 아침에 만들면 당일에 판매가 모두 끝난다. 오렌지색 당근 주스는 그 자체로 맛이 있다. 잠이 덜 깬 아침 손님들은 제주 당근주스와 브런치 메뉴를 주문하곤 했다.
제주 당근과 달리 미국 캘리포니아 당근은 얇고 긴 모양을 가졌다. 봄이 되면 이 제철 당근을 이용한 메뉴를 만들곤 했다. 노란색, 보라색 당근은 가니쉬(장식)로 색감을 내고 소형 당근도 색깔별로 앙증맞게 준비했다. 보기엔 예쁘지만 하나씩 작은 칼로 다듬고 당근 위에 줄기를 살려서 조리해야 했다. 가끔 이 작은 당근을 얇게 썰어 가니쉬로 사용했는데 버리는 부분이 많았다. 하지만 파인다이닝에서는 중요한 비주얼을 차지했다.
국물의 향·맛·색까지 높여주는 당근
국내에서는 가격대에 따라 중국산 당근을 사용하기도 한다. 중국산은 말끔하게 세척이 돼 공급된다. 아삭한 맛도 좋고 즙도 많다. 작년에는 초과 농약 검출 논란도 있었으나, 대부분의 식당에서는 중국산을 사용하지 않나 싶다.
국내산은 마트에서 흙 당근으로 판매하는데, 집게로 흙에서 바로 나온 듯한 당근을 고르면 된다. 흙 내음이 나는 것도 좋다. 다만 집에 와서 보면 표면 상태가 잘 보이지 않아 꼼꼼하게 살펴야 한다.
관세 소식이 뉴스를 장식하는 요즘, 중국산 당근의 관세는 한시적으로 0%로 낮아졌다. 기존에는 30%였다. 제주산 당근과 무의 출하량이 줄면서 가격이 올랐기 때문이라고 한다.
shef73@daum.net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