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처음부터 트럼프 전략" 관세 유예 후 '성공' 평가한 미국 재무장관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상호관세 90일 유예]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이 지난 2월3일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 서명을 준비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연설을 경청하고 있다. /AP=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에 대한 상호관세를 90일 동안 전격 유예한다고 발표한 가운데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관세 유예가 처음부터 트럼프 대통령의 계획이었다고 주장했다.

9일(현지시간) AFP통신 등에 따르면 베센트 장관은 이날 상호관세 유예 발표 직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주식시장 급락 때문에 상호관세를 유예했느냐'는 질문을 받고 "대통령의 전략에 따른 것"이라며 "나는 대통령과 일요일(6일)에 긴 대화를 나눴고, 이것이 처음부터 그의 전략이었다"고 밝혔다. 그는 "심지어 대통령이 중국을 불리한 입장으로 몰고 갔다고 말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베센트 장관은 관세 인하를 요청한 국가들과 무역 합의를 협상할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호관세를 유예했다며 주식시장 급락 때문이 아니라고 했다. 그는 "많은 요청이 있었고 75개국이 넘는 국가가 우리에게 연락했기 때문"이라며 "국가별 해법을 맞춤형으로 진행하기 위해선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에) 직접 참여하고 싶어 한다. 그래서 90일 동안 유예하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에 보복하지 않는 국가에는 지난 2일 발표한 국가별 상호관세율이 "상한"이며 이번 유예 발표로 일시적으로 적용되는 10%가 "하한"이라고 밝혔다.

베센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유예로 얻고자 하는 바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사업을 예로 들며 "한국, 일본, 대만이 사업 자금을 대고 이 사업에서 채굴한 LNG 상당량을 구매하는 데 관심을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조치가 결국 중국을 겨냥한 것이냐는 질문에 "악의적인 행위자에 대한 것"이라며 "중국은 현대 역사에서 가장 불균형한 경제이며 미국 무역 문제의 가장 큰 원인이고 전 세계의 문제"라고 답했다.

또 무역 전쟁의 구도를 '전 세계 대 중국'으로 가져가느냐는 질문에 "난 무역 전쟁이라고 부르지 않지만, 중국이 긴장을 고조시켰고 이에 트럼프 대통령이 매우 용감하게 대응했다"며 "우리는 교역 파트너들과 함께 해법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베센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유예를 발표한 것을 두고 "성공적인 협상 전략"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오늘까지 기다린 것은 대통령의 결정이었다. 내가 전에도 말했지만, 트럼프 대통령만큼 자신의 지렛대를 확보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7일 폴리티코는 트럼프 대통령이 동맹국들과 전화 통화에서 "관세정책이 일반 예상보다 빨리 최종 단계에 들어갈 것"이라며 곧 여러 국가와 협상을 체결할 것이라고 발언했다고 보도했다. 매체는 트럼프의 이러한 결정에는 "대통령이 (수사를) 바꾸지 않으면 증시는 계속 녹을 것"이라는 베센트 장관의 조언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일 모든 무역상대국에 기본 관세 10%, 대미 무역흑자가 큰 상대국에는 9일부터 이보다 높은 국가별 상호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상호관세가 발효된 지 약 13시간 만인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대상 국가에도 90일 동안 10% 기본관세만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중국에 대한 관세는 기존 84%에서 125%로 인상했다.

이영민 기자 letswin@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머니투데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