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조선 5개사 인력 현황/그래픽=최헌정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해 조선업계 인력이 9%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증가폭은 전년보다 두 배 가까이 높지만 조선소 일감 규모를 감안하면 인력난은 여전히 심각하다. 외국인 고용 확대로 눈앞의 인력난에 대응중인 업계는 로봇기술 적용 확대 등 본질적 해법 마련에 나섰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조선 5개사(HD현대중공업, HD현대미포, HD현대삼호, 한화오션, 삼성중공업)의 합산 인력은 총 4만2766명으로 전년보다 약 9%(3542명) 늘어났다. 전년 증가폭 약 5%(2174명)를 웃도는 결과다.
조선사별로 증가폭이 가장 컸던 곳은 한화오션이다. 지난해 한화오션 인력은 총 1만202명으로 전년보다 14.7% 늘었다. HD현대미포의 인력 규모도 12.9% 증가했다. 이 밖에 HD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HD현대삼호의 인력이 각기 9.4%, 4.9%, 1.1%씩 늘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조선업 슈퍼사이클(초호황) 진입에 따라 수주 물량 대응을 위해 인력 확보에 적극 나선 결과"라고 말했다.
하지만 조선소 현장에선 인력부족 현상이 여전하단 반응이 나온다. A 조선사 관계자는 "현장 인력 가운데 특히 숙련공 부족 현상이 심각하며 연구개발(R&D) 인력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지난해 업계 인력이 9% 늘었다 해도 현재 3년치 일감을 쌓아둔 조선소별 작업량을 고려하면 결과적으로 인력 증가폭은 미미한 수준이었던 셈이다. 조선·해양 인적자원개발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조선업종의 미충원율은 14.7%에 달했다.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는 연평균 1만2000명 이상의 인력이 부족한 상황으로 2027년부터는 그 규모가 13만명으로 불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업계는 외국인 인력 채용 확대로 급한불을 끄고있다. 통역사가 상주하는 지원센터 운용 등으로 외국인 인력 유치에 나선 결과 현재 조선업 종사자의 약 20% 가량이 외국인 근로자인 것으로 파악된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1~3분기 조선업에 신규 채용된 생산인력의 86%가 외국인었다. 하지만 외국인 근로자의 작업 숙련도를 끌어올리기 쉽지 않고, 여전히 현장에서 소통문제가 벌어질 수 있단 점에서 인력 충원 효과가 제한적이란 시각도 있다.
안정준 기자 7up@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