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상현(오른쪽), 김민전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 2월 7일 오전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에서 수감 중인 윤석열 대통령을 접견한 후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5.2.7/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박태훈 선임기자 = 친윤, 찐윤을 넘어서 맹윤으로 불리며 윤석열 전 대통령을 적극 옹호했던 김민전 국민의힘 의원은 한동훈 전 대표가 대통령 파면에 가장 큰 책임이 있다며 날을 세웠다.
특히 한 전 대표가 신뢰할 만한 인사(홍장원 국정원 1차장)로부터 "국회에 가면 목숨이 위험하다는 제보를 받았다"며 이른바 '한동훈 사살 명령'을 언급, 대통령 탄핵에 방아쇠를 당긴 것에 대해 윤 전 대통령이 직접 '가짜 뉴스다'라는 반응을 보였다며 이점만 봐도 한 전 대표가 21대 대선후보 당 경선에 나와선 안 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10일 SNS를 통해 "의왕 서울 구치소로 (윤 전 대통령을 면회하러 갔을 때) 나눴던 대화"라며 한동훈 사살설에 대해 대통령 말을 소개했다.
김 의원은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6일 한남동 관저에서 한 전 대표와 회동할 때) '왜 저를 사살하려 했느냐'라는 한 대표에게 '정말 그런 명령을 내렸으면 내가 홍장원 해임 결재서류에 서명을 하겠느냐'며 '한 대표가 보는 앞에서 서명했다'고 하셨다"고 전했다.
즉 윤 전 대통령이 얼마나 억울했으면 이런 말을 했겠냐는 것으로 이런 대통령을 보고도 탄핵에 찬성했냐고 한 전 대표를 정면 겨냥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파인그라스 앞에서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와 대화를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2024.10.21/뉴스1 ⓒ News1 송원영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어 김 의원은 "22대 총선에서 비록 이기진 못했지만, 윤 대통령은 총선 이후 첫 연찬회, 이후 관저에서의 몇 차례 만찬 때 '우리 함께 힘을 모아서 국정을 풀어나갈 수 있다'는 고마움과 기대를 연신 표했다"고 말했다.
buckbak@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