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가 업무를 보고 있다. AF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9일(현지시간) 뉴욕 주식시장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962.86포인트(7.87%) 치솟은 4만608.45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474.13포인트(9.52%) 급등한 5456.9,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857.06포인트(12.16%) 폭등한 1만7124.97에 장을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2020년 5월 이후 4년11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을 보였다.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도 각각 2008년 10월, 2001년 1월 이후 17년, 24년 만에 최대였다.
트럼프 행정부의 전격적인 상호관세 유예 조치가 투자 심리를 들쑤셨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자신이 만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대미 보복에 나선 중국에 대한 관세를 총 125%로 올려 즉시 발효하고, 협상 의지를 밝힌 다른 나라에 대한 국가별 상호관세는 90일간 전격 유예한다고 밝혔다. 관세 전쟁의 전선을 중국으로 좁힌 것으로 풀이되는데, 중국은 미중 경제무역관계에 대한 기본 입장을 재확인하는 무역백서를 발표하면서도 미국과의 협상 가능성을 열어뒀다.
종목별로는 대형 기술주가 급등했다. 테슬라가 22.69% 뛰었고, 엔비디아는 18.72%, 애플은 15.33% 치솟았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10.13%, 구글 모회사 알파벳과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는 9.88%, 14.76% 올랐다. 미 완성차 업체 제너럴 모터스(GM)와 포드는 각각 7.67%, 9.32% 상승했다.
그러면서 "밸류에이션 측면에서 국내 증시 진입 여지는 충분하다"며 "이달 들어 약 8조원가량 순매도세를 보였던 외국인의 대규모 자금 유입이 진행될 수 있는지에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대현 기자 kd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