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B 투자자 공동대응 예고…고소장 접수 시사
변제안 구체화 시기에 각계 관심…‘시간끌기’ 혼란 가중되나
홈플러스가 3월 4일 신용등급 하락으로 인한 잠재적 자금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서울 강서구 홈플러스 본사 인근 신호등에 빨간색 불이 켜져 있다. 임세준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노아름 기자] 홈플러스 채권자목록 제출마감을 이날 앞둔 가운데 “문제해결을 위한 의지를 보여라”는 각계의 요구에 대주주 MBK파트너스가 응할지 여부가 관심사로 떠올랐다. 현재로서는 MBK가 이해당사자들에겐 고통분담을 강요하는 한편 정작 사재출연 구체화 계획에는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어 대주주로서의 책임감을 찾아보기 힘들다는 지적이 나온다.
10일 법조계에 따르면 채무자 홈플러스는 소송대리인을 통해 지난 9일 회생채권 신고서를 서울회생법원에 제출했다. 채권자들은 오는 24일까지 채권신고서를 제출하게 된다.
채권신고 마감기한까지 채무자와 채권자는 각각 채권의 종류와 금액, 발생 원인 등을 법원에 신고한다. 이후 법원은 채무자와 채권자가 제출한 자료를 대조하여 누락 및 허위기재 등을 살피고 채권액을 확정하게 된다.
이렇게 확정된 채권자목록은 회생계획안의 기초자료가 된다. 채권자목록 제출 및 채권신고가 마감되어야 비로소 홈플러스가 회생계획 수립을 위한 출발선에 서게 된다는 의미다.
국회 정무위원회(정무위)는 오는 10일까지 홈플러스 구조조정 사태에 대한 김병주 MBK 회장의 실질적인 구제방안을 제출할 것을 요구했다. 앞서 지난달 18일 정무위는 홈플러스 현안질의에 김 회장을 증인으로 채택했지만 그는 17~19일 상하이와 홍콩 출장에 나선다면서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사유서에는 “투자가 완료된 개별 포트폴리오 회사의 경영에는 관여하고 있지 않다”며 김 회장 본인은 홈플러스 경영과 관련해 책임 있는 자리에 있지 않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진다.
대책 수립이 요원해지자 유동화전단채(ABSTB) 투자자들은 공동대응을 예고했다.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는 오는 10일까지 김 회장 등이 구체적인 피해자 구제방안을 제시하지 않는다면 이튿날 서울중앙지검에 고소장을 접수하겠다고 예고했다. 홈플러스는 신용등급이 강등되기 직전인 지난 2월말 820억원 규모의 ABSTB를 발행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ABSTB 단기 투자자들에게 4000억원을 보장한다는 건 거짓말 같다”면서 “(김 회장이) 대기업 회장 못지않은 이익을 누리면서도 손실은 사회화하고 이익은 사유화하는 방식에 불신을 갖고 있다”고 짚었다.
홈플러스가 회생절차 중에도 영업을 지속하는 사이 잡음을 일으키기도 했다. 홈플러스는 농협경제지주의 채권한도 축소로 쌀 농가 피해가 우려된다고 주장했다가 농업단체 등의 반론에 입장을 수정했다.
MBK가 담보권자 등에게 희생을 강요하고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임대료 감액 요구 등 펀드 운용사에 고통분담을 강요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때문에 추후 회생계획안이 수립되더라도 금융채권자의 동의를 이끌어내기 어렵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 경우 회생계획안이 부결되고 법원이 회생계획안을 강제인가한다면 혼란은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