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이슈 공공요금 인상 파장

경남도, 장바구니 물가안정 집중 관리…공공요금 인상 자제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농가 안정적 생산기반 조성·계약재배 물량 우선 수매 등

연합뉴스

물가안정 간담회
[경남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창원=연합뉴스) 김선경 기자 = 경남도가 지역 물가안정을 위해 도민 생활과 밀접한 주요 품목의 수급상황을 점검하는 등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10일 경남도에 따르면 전날 도청 도정회의실에서 지역 물가안정을 위한 관계기관 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에는 농협·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경남지역본부, 시민단체, 소상공인연합회, 한국외식업중앙회 경남지회, 경남에너지를 비롯한 도내 도시가스 3사, 시·군 물가담당 과장 등이 참석했다.

경남의 3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석유류 가격 상승세 둔화, 신선과일 가격 하락 등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1.9% 상승에 그쳐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그러나 고물가 상황이 이어지고 이상기후 등 영향으로 일부 농수산물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해 실제 체감하는 장바구니 물가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전년 동월 대비 가격 상승률은 무 81.4%, 배추 32.1%, 고등어 17.4%, 김 24% 등으로 나타났다.

도는 간담회를 통해 배·사과 등 신선농산물과 고등어·김 등 수산물의 향후 수급 전망 및 가격 동향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배는 개화기 중 갑작스러운 저온 피해가, 사과는 경북지역 산불로 인한 생산 차질이 가격 상승 요인으로 꼽힌다.

고등어는 어황 악화로 인한 어획량 감소, 김은 수출 증가로 인한 국내 공급량 부족이 가격 상승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도와 관계기관은 안정적인 생산 기반 조성 등을 통한 물가안정에 힘을 모을 계획이다.

도는 농림축산식품부에 과수 저온피해를 농업재해로 인정해줄 것을 건의했다.

또 농가에 냉해 예방약제 공급, 재해 방지시설 설치 등을 통해 안정적인 생산 기반 조성을 도울 방침이다.

농협은 산불 피해지역의 생육 회복을 위해 약제를 절반 가격에 제공하고 있다.

배 개화기 피해 경감을 위한 약제는 35% 할인해 공급한다.

이밖에 봄배추 조기 출하 유도, 계약재배 물량의 우선 수매 및 재배면적 확대 등을 통해 농산물 가격 안정을 도모한다.

도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과 협력해 농산물 유통과정에서의 불공정 거래 행위도 수시 점검한다.

정부가 상반기 공공요금 동결 방침을 밝힌 가운데 도 역시 지방공공요금 인상을 자제하는 한편 18개 전 시·군에도 이같은 정책 방향에 동참해 달라고 요청했다.

조현준 경제통상국장은 "물가안정은 도민 삶과 직결된 민생안정의 핵심 과제"라며 "도민이 실제로 물가안정 효과를 체감할 수 있게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ksk@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연합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