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대중관세 여파로 부담 쑥
사입 물량에 관세 비용 우려
사입 물량에 관세 비용 우려
챗GPT 생성이미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이 중국과 베트남, 태국 등에서 제조된 상품 수입 물량 일부를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대중 고율 관세 부과에 나서자 이로 인한 부담을 축소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9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복수의 소식통과 입수한 문서를 인용해 “아마존이 중국과 아시아 국가에서 제조된 일부 제품에 대한 주문을 취소했다”고 보도했다.
아마존은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이 전세계 국가들을 대상으로 상호 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한 직후 주문 취소에 나섰다. 해변용 의자, 스쿠터, 에어컨 등 다양한 품목이 취소 대상에 포함됐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아마존은 주문을 취소하면서 거래처에 아무런 통보도 하지 않았다.
아마존이 수입 물량 축소에 나선 배경은 관세 비용 절감으로 추정된다. 아마존은 판매 상품의 40%를 직접 사입한다. 외국 현지에서 제품을 도매로 사들인 뒤 미국에 있는 물류창고로 직접 운송하는 방식을 택한다. 아마존이 직접 미국으로 배송하기 때문에 관세가 오르면 비용 부담이 커진다. 이번 아마존의 주문 취소는 결국 아마존이 공급업체에 관세 부담을 떠넘기려는 포석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