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프랑스,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대열 합류할듯…마크롱 “사우디와 ‘상호 인정’ 논의”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8일(현지시간) 팔레스타인 가자지구로 향하는 구호품의 주요 이동 경로였던 이집트 북동부 아리시 항구를 방문해 이스라엘을 향해 가자지구 내 구호품 반입을 허용하라고 촉구했다. AF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스페인 등 유럽 4개국이 팔레스타인을 ‘주권 국가’로 인정한 데 이어, 이스라엘에 비교적 우호적인 서방국 중 하나였던 프랑스도 곧 이 대열에 합류할 것으로 보인다.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에 힘을 실어 주는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으나, 가자지구 전쟁이 장기화되며 이스라엘의 주요 지지 기반이었던 유럽 내에서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9일(현지시간)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프랑스5 채널 인터뷰에서 “우리는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을 향해 나아가야 하며, 앞으로 몇 달 안에 그렇게 할 것”이라며 “이는 어느 누구의 편을 드는 것이 아니며, 그것이 언젠가 옳은 일이 될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나는 팔레스타인을 지지하는 국가들이 그에 상응해 이스라엘을 인정할 수 있도록 집단적인 흐름을 만들고 싶다”고 덧붙였다.

팔레스타인은 유엔 회원국 193개국 중 146개국으로부터 주권 국가로 인정받고 있으나, 이스라엘의 맹방 미국을 포함해 영국, 프랑스, 독일, 호주 등 주요 서방 국가들로부터는 국가로 인정받지 못해 왔다.

반면 팔레스타인을 주권 국가로 보는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이라크, 시리아, 예멘 등 중동국가들은 이스라엘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는다.

2023년 10월 가자지구 전쟁이 시작되며 양측의 해묵은 갈등이 폭발한 뒤 이스라엘이 초토화 수준으로 가자를 폭격하자, 지난해 여러 국가가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며 힘을 실어줬다.

스페인과 아일랜드, 노르웨이, 슬로베니아 등 유럽 일부 국가들과 자메이카, 바하마, 트리니다드 토바고, 바베이도스 등 중남미 국가들이 이 대열에 합류했다.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이 각각 주권 국가로 공존해야 한다는 이른바 ‘두 국가 해법’을 지지하고 나선 것이다.

프랑스 역시 오랜 기간 ‘두 국가 해법’을 지지해 왔으며, 마크롱 대통령은 최근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와 요르단강 서안지구 등 팔레스타인 땅을 재점령하거나 주민들을 강제 이주시켜선 안 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마크롱 대통령은 오는 6월 프랑스와 사우디아라비아가 공동 의장을 맡게 되는 유엔의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관련 회의에서 여러 국가들의 ‘상호 인정 합의’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사우디 등 중동 국가들이 이스라엘을 국가로 인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합의의 일환으로, 프랑스 역시 팔레스타인 국가를 인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선명수 기자 sms@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 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경향신문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