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상호관세 유예 이유 묻자 트럼프 "사람들이 불안해 하더라"

0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제외한 전 세계를 상대로 상호관세 유예 조치를 결정한 배경을 직접 설명했습니다.

말 바꾸기가 아니라 유연성이라고 자평하며 협상 기대감도 내비쳤습니다.

정래원 기자입니다.

[기자]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유예 결정에, 금융시장의 부정적인 반응이 한몫했다는 점을 시사했습니다.

투자가 까다로운 국채 시장을 보고 있다가, 불안감이 읽혔다는 겁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현지시간 9일)> "사람들이 좀 불안해하고 동요하는 분위기였어요. 약간 겁을 먹고, 긴장된 반응 같기도 했습니다."

90일간의 관세 유예를 검토 중이라는 보도에 '가짜 뉴스'라고 대응한 직후 유예 발표를 한 것에 대해선 '말 바꾸기가 아니라 유연성'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관세 유예 발표 후 주식시장이 폭등한 것을 두고도 만족감을 내비쳤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현지시간 9일)> "며칠 전만 해도 침울했죠. 그런데 역사상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했다고들 하네요. 엄청난 변화죠. 핵심은 '유연성'입니다."

또 한 번 예상치 못한 90일간의 말미를 받아든 각국은 이제 본격적인 협상전에 들어갈 전망입니다.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압도될 만큼 많은 무역 상대국이 미국에 협상을 요청해왔다고 전했습니다.

<스콧 베선트/미 재무장관(현지시간 9일)> "각 국가에 맞춤형 해법을 찾아야 하기에 시간이 걸립니다. 그리고 트럼프 대통령은 이 과정에 직접 관여하고 싶어 합니다."

베선트 장관은 기본관세 10%가 하한선, 지난 2일 발표한 국가별 상호관세가 상한선이라는 협상의 기본적 가이드라인도 언급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수치로만 따지면 10%에서 25% 사이가 될 전망인데, 비관세 장벽이나 액화천연가스 사업 등 투자 계획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관세가 유예된 90일간이 대략적 협상 시한이 된 가운데,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는 몇 주 또는 몇 달 안에 협상이 이뤄질 거라고 예고했습니다.

연합뉴스 정래원입니다.

#트럼프 #관세 #협상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래원(one@yna.co.kr)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