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中과 무역 끝내려 해”…中 “끝까지 싸울 것”
美도 관세 직격…GDP 3.6%↓·물가 2.1% ↑ 전망
中도 피해 크지만 ‘자신감’…“이미 경험, 버티면 돼”
中, 희토류 금지 등 이어 美 맞춤형 보복 카드 ‘만지작’
블룸버그통신은 9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따른 최대 피해자는 미국과 중국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보도했다. 이어 “이 게임에 걸린 것은 7000억달러(약 1021조원)에 달하는 양국 간 상품 무역, 미국 내 약 1조 4000억달러(약 2043조원) 규모의 중국 포트폴리오 투자, 수십년 간 사업체나 대학 등을 통해 구축된 민간 교류 등”이라고 덧붙였다.
블룸버그는 미중 무역전쟁을 “워싱턴과 베이징의 위험한 벼랑 끝 전술”이라고 규정하며 양국 경제의 디커플링(탈동조화)이 빠르게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고 우려했다. 앞서 재닛 옐런 전 미국 재무장관은 지난해 “미중 경제는 깊이 통합돼 있다”며 “전면적인 분리(디커플링)는 양국 모두에 재앙이 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사진=AF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트럼프, 中과 무역 끝내려 해”…中 “끝까지 싸울 것”
미국과 중국은 결코 물러서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125%까지 끌어올렸고,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은 강철 같은 의지를 갖고 있으며 절대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에 대한 관세는 90일 간 유예해 압박 수위를 높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원하는 바를 명확하게 밝히지 않으면서 “중국이 협상을 원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중국 관영 언론은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중국은 문제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협상을 위한 문은 닫히지 않았지만 이런 방식으론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일축했다. 사실상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중국 정부의 입장을 대변한 것이라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아울러 중국의 추이톈카이 전 주미대사는 지난주 워싱턴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스스로 와서 협상을 요청하길 원하지만, 베이징은 그럴 생각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의도적으로 트럼프 측 인사들과 접촉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전문가들은 가까운 시일 내에 양국 관계가 해빙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입을 모았다. 경제 자문회사 가베칼 드래고노믹스의 파트너 아서 크로버는 “대대적인 타협에 대한 환상은 접어야 한다”며 “본질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미중 간 무역 자체를 끝내려 한다”고 봤다.
美도 관세 직격…GDP 3.6%↓·물가 2.1% ↑ 전망
블룸버그 이코노믹스 분석에 따르면 현재 트럼프 대통령이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부과한 평균 관세율은 24.7%이며, 이는 미국 GDP를 3.6% 감소시킬 것으로 추산된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선호하는 물가 지표는 2.1%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미국이 중국에 100% 관세를 부과하면 중장기적으로 미국의 중국산 수입은 완전히 사라질 것”으로 내다봤다.
지금까지 대기업부터 중소기업에 이르기까지 대중 관세 면제를 요청한 기업은 1100곳에 달한다. 독일 화학기업 바스프(BASF), 미국 포드·잉거솔랜드·테슬라 등 글로벌 기업들도 포함됐으며, 이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원한대로 미국 내 생산라인 구축·확장하려면 중국산 기계 설비는 필수라고 주장한다.
보수 성향의 미국기업연구소(AEI)에서 오랫동안 중국을 비판해 온 데릭 시저스는 “대체품이 없는 중국 상품들이 있다. 대체품이 생길 때까지는 비용을 지불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블룸버그 분석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중국은 미국이 수입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 스마트폰, 컴퓨터 모니터의 70% 이상을 생산한다. 게임 콘솔은 90%, 전기 토스터, 온열 담요, 칼슘, 알람시계는 99% 이상이 중국에서 수입된다.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AF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中도 피해 크지만 ‘자신감’…“이미 경험, 버티면 돼”
중국은 미국 시장을 잃게 되면, 내수뿐 아니라 해외 수요 위축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중국 전역의 공장에선 현재 주문 감소가 가시화하고 있다. 업체들은 미국에서 판매되는 가격 인상은 불가피하며, 트럼프 대통령의 임기가 끝나야 상황이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상하이 푸단대학의 미국엔구센터의 우신보 소장은 “중국은 트럼프 1기와 조 바이든 전 정부 시절 관세 및 기술 제재에도 인공지능(AI)과 같은 신기술 분야에서 계속 진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고, 이를 토대로 자신감을 얻었다”며 “중국은 시간이 흐를수록 더 유리해져 협상을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은 중국 이외 국가에서도 보복을 당할 것”이라며 “내부적으로는 주식시장 하락, 경기 둔화, 인플레이션 등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국은 미국을 겨냥한 ‘맞춤형’ 보복 조치를 준비하고 있다. 희토류 등에 대한 미국 기업의 구매 제한 등을 이미 시행하고 있으며, 지난주엔 자국 내 미국 기업에 대한 조사도 예고했다. 미국산 가금류 수입 금지, 서비스 수입 제한, 펜타닐 문제 협력 중단 등도 압박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위안화 약세 전환이나 미국 국채 매각 등의 방안도 거론되지만, 이들 조치는 중국에도 심각한 피해를 입힐 것이란 진단이다.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과 행크 폴슨 전 재무장관의 중국 자문을 역임한 에반 메데이로스 조지타운대 교수는 “관세 전쟁의 가장 큰 문제는 양측이 모두 고통을 겪는다는 것”이라며 “중국은 머리에 총이 겨눠진 채 협상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