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재, 권한쟁의심판 결정…권한대행 탄핵정족수는 '151석' 재확인
국민의힘 의원 표결 불참, 권한 침해 주장할 수 없어
정형식·조한창 반대의견…"특수한 상황에서 토론기회 충분히 보장했어야"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헌재는 10일 오후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탄핵소추안 의결에 관한 권한쟁의' 심판에서 재판관 6인(문형배·이미선·김형두·정정미·김복형·정계선)의 각하 의견과 재판관 2인(정형식·조한창)의 인용 의견으로 '각하'한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국회의원들은 한 권한대행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지난해 12월 27일 국회 본회의에 상정된 탄핵소추안을 가결 선포한 행위와 소추의결서 등본을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한덕수에게 송달한 행위가 헌법과 국회법에 따라 부여된 청구인들의 국민대표권과 탄핵소추안 관련 심의ㆍ표결권을 침해한다고 주장하면서 권한쟁의심판을 청구했다.
헌재는 "국회 본회의에 상정된 국무총리(한덕수) 탄핵소추안을 가결 선포한 행위와 소추의결서 등본을 피소추자 한덕수에게 송달한 행위가 헌법과 법률에 따라 부여된 청구인들의 탄핵소추안에 관한 심의·표결을 침해할 가능성이 인정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다만 정형식·조한창 재판관은 탄핵소추안 가결선포행위가 헌법상 다수결의 원칙과 의회민주주의를 위반해 청구인들의 심의와 표결권을 침해했다면서 반대의견을 냈다.
헌재는 우선 탄핵소추안이 법제사법위원회 회부 절차를 거치지 않아 문제가 있다는 여당 측 주장과 관련해 "단순히 국회의 재량 사항인 법사위 회부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청구인들의 그에 관한 어떠한 심의ㆍ표결권이 침해될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다.
특히 헌재는 한 총리 탄핵소추안 의결 과정에서 대통령 탄핵소추 기준이 아닌 국무총리 기준(일반정족수 기준)을 적용한 것과 관련해 "대통령 권한대행 의결정족수와 관련한 확립된 해석이 없는 상황에서 피청구인이 일정한 의견수렴을 거쳐 '일반 의결정족수'를 적용한 것을 두고 헌법이나 법률을 명백히 위반한 흠이 있다거나 그로 인해 청구인들의 심의ㆍ표결권이 침해될 가능성이 있다고까지 단정하기는 어렵다"고 봤다. 헌법은 대통령 탄핵안의 의결정족수를 재적의원 3분의 2(200석)로, 국무총리 등 일반 공직자의 경우는 재적의원 과반수(151석)로만 정하고 있다.
반대의견을 낸 정형식·조한창 재판관은 우 의장이 탄핵소추안에 대한 표결에 앞서 국회의원들의 의결정족수에 관한 의견 수렴이나 토론 절차를 따로 거치지 않고 본회의 안건으로 상정하고 나서야 '일반 의결정족수'를 적용한다고 공지한 행위는 주재자의 중립성을 엄격하게 요구하는 헌법과 이를 바탕으로 한 의회민주주의 원리를 위반했다고 봤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곽민재 기자 mjkwa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