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일)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AI 데이터센터 에너지 사용량 폭증…2030년엔 현재의 4배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가 간 인공지능(AI) 기술 경쟁 때문에 에너지 사용량이 급증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9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오는 2030년까지 세계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현재의 두 배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내용의 보고서를 냈다.

보고서는 특히 AI 전용 데이터센터의 전력수요는 4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IEA는 2030년까지 미국에서 AI를 포함한 전체 데이터센터에 사용되는 전력은 철강과 시멘트, 화학 등 에너지 집약적 산업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모두 합친 규모를 추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재 가동되는 데이터센터는 약 10만 가구가 사용하는 전력을 소모한다.

그러나 데이터센터 고도화에 따라 최근에는 이보다 20배 이상 용량이 높은 데이터센터도 건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AI 기술 경쟁이 기후 위기 대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다만 IEA는 AI를 활용해 에너지 사용을 효율화할 경우 전체적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AI로 전력망 설계를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율주행이나 대중교통 최적화 등을 통해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을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AI를 활용한다면 전기차와 풍력터빈, 태양광 패널 등 재생에너지 기술에 필수적인 핵심 광물을 더욱 쉽게 탐사하고 채굴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IEA의 분석이다.

파티 비롤 IEA 사무총장은 “AI의 부상으로 에너지 분야는 기술 혁신의 최전선에 서게 됐다”며 “AI를 어떻게 활용하느냐는 사회와 정부, 기업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AI 용 반도체 생산과정에서 발생한 탄소 배출량이 지난해 4배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현대인 기자 modernman@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전자신문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