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8 (금)

이슈 유가와 세계경제

[뉴욕유가] 백악관 "中관세는 최소 145%"…WTI 3.66% 폭락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욕=연합뉴스) 진정호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유가가 이번에는 3% 넘게 폭락하며 다시 60달러선에 턱걸이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관세를 더 높이면서 침체 공포가 다시 도진 여파다.

*그림*

연합뉴스

미국 텍사스주 카네스 시티 근처 시설의 석유 저장 탱크
[연합뉴스 자료사진]


10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보다 2.28달러(3.66%) 급락한 배럴당 60.07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6월 인도분은 전장보다 2.15달러(3.28%) 폭락한 배럴당 63.33달러에 마무리됐다.

백악관은 이날 중국에 대한 관세가 최소 145%라고 발표했다.

마약성분 팬타닐과 관련해 기존에 부과된 관세 20%에 이날부터 발효된 상호관세 125%를 더한 값이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이전 조처된 관세까지 포함하면 145%가 넘어가는 셈이다.

백악관은 또 오는 5월 2일부터 중국과 홍콩에서 오는 800달러 이하의 소액 소포에 대해서는 120%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중국을 겨냥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방위적으로 압박하면서 원유 수요도 악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졌다. 세계 최대 원유 수입국인 중국이 미국의 관세 폭탄으로 경기가 꺾이면 원유 수요도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트럼프가 전날 중국을 제외한 모든 교역국에 대해 90일간 상호관세를 유예하기로 한 점은 유가를 급등시키는 재료였다. 하지만 10%의 보편 관세는 그대로 유지되는 데다 중국에 대한 압박 수위가 높아지면서 글로벌 경기침체 공포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S&P글로벌상품인사이트의 짐 버크하드 석유 시장 리서치 총괄은 "중국에 대한 관세가 상향 조정됐는데 이는 여전히 상당히 심각한 수준"이라며 "이렇게 많은 국가와 협상을 하고 있는데 미국이 70개국과 동시에 협상할 수 있을까. 혼란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우려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게 아니라 주먹구구식이라는 점이 드러나는 것도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소다.

미국 주요 언론은 트럼프가 전날 '90일 상호관세 유예' 카드를 꺼내기 전 며칠 간의 상황을 재구성하며 이번 조치가 즉흥적인 측면이 있다고 조명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을 비롯한 일부 백악관 핵심 관계자는 추가 관세를 연기하는 게 처음부터 계획됐다고 주장했으나 미국 언론과 금융시장에선 의구심이 커지는 흐름이다.

한편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3월 들어 예상보다 둔화하며 약 5년래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3월 CPI는 계절 조정 기준으로 전월 대비 0.1% 하락했다. 2020년 5월 기록한 -0.1% 이후 약 5년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시장 전망치 0.1% 상승도 밑돌았다.

jhji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