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앱 개발자 "인앱결제, 과도한 수수료가 문제"…소비자 "편해서"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방통위, 2024년도 앱 마켓 실태조사 결과 발표

(방통위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나연준 기자 = 우리나라 애플리케이션 개발자가 앱 마켓사업자에게 경험하는 주요 불공정 사례는 심사 지연과 등록 거부인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앱 내 결제(인앱결제)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과도한 수수료'를 꼽았다.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11일 '전기통신사업법' 제22조의9(앱 마켓사업자의 의무 및 실태조사)에 따른 '2024년도 앱 마켓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2023년도 국내 '앱 마켓' 규모는 거래액 기준으로 8조 1952억 원으로 2022년 8조 7598억 원 대비 6.4% 감소했다. 각 사업자별로 보면, 애플 앱스토어(10.1%)와 삼성전자 갤럭시스토어(6.3%)는 전년 대비 매출이 증가했으며, 구글 플레이(-10.1%)와 원스토어(-21.6%)는 감소했다.

4개 앱 마켓사업자의 거래액 대비 수수료 비중은 약 14~26% 수준으로, 애플 앱스토어는 약 10% 증가했고 구글 플레이는 약 10% 감소했다.

국내 앱 개발자가 이용하는 앱 마켓은 구글 플레이(96.4%), 애플 앱스토어(71.3%) 순(중복포함)이다. 매출액 비중은 구글 플레이가 67.5%로 가장 높았고 애플 앱스토어(28.2%), 원스토어(2.9%), 갤럭시스토어(1.5%)가 뒤를 이었다.

앱 개발자들이 느낀 주요 불공정 사례는 앱 심사지연 경험(애플 앱스토어36.8%, 구글 플레이 26.2%)이 가장 많았다. 이어서는 앱 등록 거부 경험(애플 20%, 구글 13%)과 앱 삭제 경험(구글 8.2%, 애플 3.2%) 순이었다.

앱 개발자들은 앱 내 결제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과도한 수수료'(70.4%)를 꼽았다. 이어 '환불 등 수익 정산의 불명확함' (11.6%), '결제 수단 선택 제한'(8.9%) 순으로 조사됐다.

앱 개발자들은 앱 최초 등록 과정상의 어려움으로는 '심사 기준이 명확하지 않음'(구글 플레이 29.8%, 애플 앱스토어 29.6%), '질의에 대한 피드백 지연'(각각 26.1%, 25.3%) 등을 꼽았다.

(방통위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자주 이용하는 앱 마켓은 구글 플레이(67.2%), 애플 앱스토어(29.7%) 순이었다. 해당 앱 마켓을 자주 이용하는 이유로는 '사용이 편리해서'(67.7%), '설치되어 있어서'(61.3%), '상품 수가 많아서'(33,5%) 순으로 나타났다.

유료 콘텐츠 구매의 경우 우리나라 국민은 정기결제를 월평균 1.43회, 1만 3317원 지출했으며, 1회성 결제로는 월평균 1.39회, 9756원 소비했다.

앱 내 결제 방식을 선호하는 이용자 비율은 74.5%로 나타났다. 앱 내 결제 선호 이유로는 '결제 편리성'이 가장 높았다.

천지현 시장조사심의관은 "이번 조사에서 드러난 이용자 불편사항을 적극적으로 개선하는 한편 앱 마켓 생태계의 공정한 거래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의 세부 내용은 방통위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yjra@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뉴스1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