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스마트폰과 컴퓨터 반도체 장비 등을, 상호관세에서 제외하기로 했습니다. 중국에서 주로 생산되는 아이폰 가격이 천정부지로 오를 수 있다는 지적에 한 발 물러난 걸로 보입니다. 이번 조치로 삼성전자 역시 상호관세 부담을 덜게 됐습니다.
박준우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 관세국경보호국은 현지 시간 지난 11일 밤 특정 물품을 상호관세에서 제외한다고 공지했습니다.
이들 물품만 앞서 중국산 제품에 부과했던 125% 상호관세를 면제 받는다는 겁니다.
상호관세와 별개로 펜타닐을 문제 삼아 이미 중국에 부과했던 20%의 관세까지 면제될 지는 미지수입니다.
그럼에도 이번 조치로 애플과 델 등 생산 기지 대부분이 중국에 있는 미국 기업들은 한숨을 돌릴 수 있게 됐습니다.
상호관세가 그대로 부과되면 미국 내 아이폰 가격이 2배 넘게 뛸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애플은 4일 만에 시가총액이 약 1100조 원 증발하기도 했습니다.
이번 조치로 삼성전자도 덩달아 상호관세 직격탄을 피하게 됐습니다.
전자제품은 가계 지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물가 상승과 소비심리 위축 등을 고려해 선제적으로 면제에 나섰단 분석입니다.
[영상편집 김지우]
박준우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