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인도 생산 아이폰 물량 220억 달러
상호관세 부과 발표 후 인도→미국 수출 급증
13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애플이 지난해 4월부터 지난달까지 인도에서 생산한 아이폰 물량은 총 220억 달러(약 31조원·공장 출고가 기준)어치에 달했다고 관계자가 전했다.
이는 전년 동기보다 60%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이에 따라 세계 아이폰 생산에서 인도 비중은 약 20%로 상승했다.
또 인도 기술부에 따르면 이 기간 인도에서 생산된 아이폰 중 1조5000억 루피(약 25조원) 어치가 외국으로 수출됐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월 상호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한 이후 인도에서 미국으로의 아이폰 수출이 급증했다고 관계자들이 전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애플은 지난달부터 상호관세 부과를 피하기 위해 전세기 6대를 동원해 아이폰 약 150만대, 600t 분량을 인도에서 미국으로 긴급 공수하기도 했다.
인도 애플 매장의 아이폰, 연합뉴스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애플은 앞으로 인도에서 생산된 아이폰의 미국 시장 공급량을 더 늘릴 방침으로 알려졌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현지시간 12일 스마트폰·컴퓨터 등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상호관세가 면제된 인도 생산 아이폰이 20%의 관세를 적용받는 중국산 제품보다 미국 시장에서 가격적으로 유리해졌다.
애플은 중국 생산 비중을 낮추려고 애쓰고 있지만, 공급업체가 약 200곳에 이르고 중국 의존도가 워낙 높아 생산지를 다른 나라로 단기간에 옮기기는 어려운 형편이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에서 아이폰이 생산되도록 하겠다는 뜻을 뚜렷이 밝히고 있지만, 생산 시설·인력 부족 등 이유로 애플이 미국으로 생산지를 이전할 가능성은 작다고 블룸버그는 관측했다.
인도에서 생산되는 아이폰의 대부분은 인도 남부에 위치한 폭스콘 공장에서 조립되며, 인도 기업인 타타 일렉트로닉스 등도 주요 공급업체다.
박준이 기자 giv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