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서 90% 생산' 애플 최대 수혜
삼성·LG 등 안도하며 상황 주시
생산 거점 다변화 등 해결 나설 듯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결과 주목
13일 서울의 한 전자제품 매장에 진열된 삼성전자 스마트폰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스마트폰, PC, 메모리칩 등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하면서 삼성전자, 애플 등 빅테크들이 한숨을 돌리게 됐다. 다만 트럼프 정부가 반도체에 대한 품목별 관세와 관련해선 따로 발표하겠다고 밝혀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스마트폰·컴퓨터 등 관세 대상 제외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12일(현지시간) 스마트폰·컴퓨터·모니터·디스크 드라이브·메모리칩·반도체 제조 장비 등 20개 품목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공지했다. 전자제품을 제조하는 빅테크가 상호관세로 타격을 받는 상황에 놓이자 미국 정부가 한발 물러선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조치로 삼성전자, 애플, 델, 엔비디아, TSMC 등은 한시름을 놓게 됐다. 미국은 현재 중국에는 125%를, 그 외 국가에는 10%의 상호관세를 각각 부과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스마트폰의 50% 가량을 베트남에서 생산해 일부를 미국으로 수출 중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베트남의 상호 관세율을 46%로 정하고 정책 시행일은 90일 유예하겠다고 밝혔으나, 유예 기간이 끝나면 당장 삼성전자 스마트폰 사업에 영향이 갈 수 있는 상황이었다. 삼성전자는 하루하루 관세 관련 사안이 급변하고 있는 만큼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LG전자 또한 모니터와 노트북을 중국에서 위탁 생산하고 있었기에 안도하면서 상황을 잘 살펴보고 대응한다는 분위기다.
■반도체는 품목별 관세 변수
트럼프 정부의 정책 변동성이 심한 만큼 주요 빅테크들은 생산 기지 다변화에 힘쓸 것으로 예상된다. 백악관은 캐롤라인 레빗 대변인 명의의 성명을 내고 미국이 반도체나 스마트폰, 노트북 등과 같은 핵심 기술을 생산하는데 중국에 의존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애플은 이미 인도에서 아이폰 생산 비중을 갈수록 늘려가고 있으며, 삼성전자도 전 세계 곳곳의 생산거점을 더 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HP 같은 PC 제조사들도 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관세 이슈가 워낙 변화가 심해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며 "생산지별 제조원가 경쟁력을 고려해 '스윙 생산체제'를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solidkjy@fnnews.com 구자윤 조은효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