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음식배달 플랫폼 1위인 배달의민족이 내일(14일)부터 '포장 주문'에도 중개수수료를 부과하기로 해서 점주들이 반발하고 있습니다. 포장 고객에만 줬던 서비스나 할인, 이제 어려워질 거고, 결국 배민이 더 가져가는 '배달 주문'만 늘 것이라는 이야기입니다.
유덕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서울에서 3년째 타코야끼 가게를 꾸려온 김 모 씨.
내일부터 배달의민족 플랫폼을 통한 픽업 주문을 받지 말아야 하나 고민 중입니다.
픽업 주문은 배민앱에서 주문·결제한 뒤 소비자가 음식점에 직접 찾아가 포장된 음식을 가지고 오는 이른바 테이크 아웃 방식인데, 내일부터 점주에게 수수료 6.8%가 부과되기 때문입니다.
업계 2위인 쿠팡이츠가 포장 주문에 수수료를 면제하고 있는 것과 비교됩니다.
[김 모 씨/음식점 운영 : 광고비도 나가고 또 수수료도 나가고. (앞으로 '픽업'주문을) 안 받아야겠죠. 아니면 가격을 높이든가.]
음식점주들은 배달료와 중개 수수료가 없어 가능했던, 포장 고객에 대한 무료 음료, 반찬 같은 '서비스'나 '가격 할인'은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합니다.
[이 모 씨/음식점 운영 : 1천 원, 2천 원 정도 할인, '포장 할인' 이런 걸 해드렸죠. 그냥 없어지는 거죠. 할 수가 없어요.]
결국 포장 손님들이 배달로 넘어가면서 점주들의 수수료와 배달비 부담도 커질 것이라고 우려합니다.
[박 모 씨/음식점 운영 : (손님들이) 귀찮음을 무릅쓰고 (매장으로) 오는 이유는 배달보다 훨씬 큰 혜택 때문이거든요. 자연적으로 (무료인) 배달로 갈 수밖에 없다….]
[이 모 씨/음식점 운영 : 상생한다고 하지만 거기다가 (포장 주문도 수수료를) 해버리면… 상생이라면 '정말 상생'을 했으면 좋겠어요.]
수수료 부담은 늘지만 배달앱 1위 배민에 끌려갈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합니다.
[이 모 씨/음식점 운영 : 500원이라도 더 벌겠다고 하는 거죠. (중소 음식점들은) 배달도 같이 병행해야지 안 할 수가 없는 거죠.]
배달앱 수수료 갈등에 정부에서 공공앱 활성화, 1년 30만 원 배달비 지원 같은 지원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체감도는 높지 않습니다.
[박 모 씨/음식점 운영 : (공공배달앱들에) 업체도 많이 안 들어와 있고 이러니까 손님들이 이용을 하지 않으세요. (배달비 지원으로는) 100건 수준이 조금 안 되죠.]
배달의민족은 포장 주문에 부과하는 수수료로 마케팅에 재투자하고 앱을 개편하고 있다며 음식점주 마진이 배달보다 높은 픽업 판매 비중을 높이려는 조치라고 주장했습니다.
(영상취재 : 제 일, 영상편집 : 박나영, 디자인 : 장성범·이예솔)
유덕기 기자 dkyu@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음식배달 플랫폼 1위인 배달의민족이 내일(14일)부터 '포장 주문'에도 중개수수료를 부과하기로 해서 점주들이 반발하고 있습니다. 포장 고객에만 줬던 서비스나 할인, 이제 어려워질 거고, 결국 배민이 더 가져가는 '배달 주문'만 늘 것이라는 이야기입니다.
유덕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서울에서 3년째 타코야끼 가게를 꾸려온 김 모 씨.
내일부터 배달의민족 플랫폼을 통한 픽업 주문을 받지 말아야 하나 고민 중입니다.
업계 2위인 쿠팡이츠가 포장 주문에 수수료를 면제하고 있는 것과 비교됩니다.
[김 모 씨/음식점 운영 : 광고비도 나가고 또 수수료도 나가고. (앞으로 '픽업'주문을) 안 받아야겠죠. 아니면 가격을 높이든가.]
음식점주들은 배달료와 중개 수수료가 없어 가능했던, 포장 고객에 대한 무료 음료, 반찬 같은 '서비스'나 '가격 할인'은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합니다.
결국 포장 손님들이 배달로 넘어가면서 점주들의 수수료와 배달비 부담도 커질 것이라고 우려합니다.
[박 모 씨/음식점 운영 : (손님들이) 귀찮음을 무릅쓰고 (매장으로) 오는 이유는 배달보다 훨씬 큰 혜택 때문이거든요. 자연적으로 (무료인) 배달로 갈 수밖에 없다….]
[이 모 씨/음식점 운영 : 상생한다고 하지만 거기다가 (포장 주문도 수수료를) 해버리면… 상생이라면 '정말 상생'을 했으면 좋겠어요.]
[이 모 씨/음식점 운영 : 500원이라도 더 벌겠다고 하는 거죠. (중소 음식점들은) 배달도 같이 병행해야지 안 할 수가 없는 거죠.]
배달앱 수수료 갈등에 정부에서 공공앱 활성화, 1년 30만 원 배달비 지원 같은 지원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체감도는 높지 않습니다.
[박 모 씨/음식점 운영 : (공공배달앱들에) 업체도 많이 안 들어와 있고 이러니까 손님들이 이용을 하지 않으세요. (배달비 지원으로는) 100건 수준이 조금 안 되죠.]
(영상취재 : 제 일, 영상편집 : 박나영, 디자인 : 장성범·이예솔)
유덕기 기자 dkyu@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