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용역 2023년 12월 발주⋯완료시점 6월말로 늦춰져
윤석열 정부에서 추진한 정책과제의 결과물이 결국 다음 정부에서나 나오게 됐는데, '조작'이란 오명을 쓴 정부 통계가 어떻게 변화할지에 관심이 모아진다.
서울 한강 인근에서 바라본 서초구 아파트의 모습. 2025.4.6. [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3일 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가 지난 2023년 12월 국토연구원에 '주택가격 동향조사 신뢰도 확보방안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이에 지난해 1월 계약을 맺어 착수일로부터 9개월간 연구용역을 거쳐 지난해 말쯤 마무리될 예정이었으나 다시 6개월이 연장된 바 있다.
특히 연구용역 발주 당시 통계의 객관성 확보를 위해 제3의 민간기관에도 용역을 맡겼고, 해당 용역은 마무리됐던 것을 고려하면 국토연구원의 연구용역만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윤석열 정부 들어 통계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겠다며 연구용역을 통해 개선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용역 내용 중에는 △주간·월간 동향조사 생산 과정 및 검증체계 등 검토 △통계 생산주기 및 생산방식 등의 적정성 검토 △동향조사 통계 활용 현황 분석·검토 △국내 및 해외 주택가격 통계 생산방식 등 사례 비교·분석 등이 포함돼 있다.
한국부동산원 본사 전경. [사진=부동산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늦어지면 무엇이 문제?"…논란의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대표적인 사례가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 확대 재지정 과정에서 나왔다. 서울시는 지난 2월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 잠실동·삼성동·대치동·청담동 일대를 토지거래허가구역에 해제한 직후 집값 상승세 조짐이 있는데도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하는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조사는 실거래가격 외에 부동산중개업소 의견, 매물정보, 시세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참고한 표본가격"이라고 경시하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 한국부동산원의 아파트 가격 조사를 깎아내린 것이다.
하지만 서울시는 지난달 집값 상승세가 확연해지고 광범위해지자 뒤늦게 강남3구와 용산구까지 토허구역을 확대 재지정하면서 한국부동산원의 통계 불신으로 인한 정책적 실패를 자초했다는 지적을 받기에 이르렀다.
지난해 전국의 76개 재건축조합이 모인 전국재건축정비사업조합연대(전재연)가 한국부동산원의 주택 가격통계를 믿지 못 하겠다며 청구한 공익 감사 역시 서울시의 사례와 비슷하다. 당시 감사는 종결되고 말았는데, 주된 이유는 국토부가 국토연구원 등에 맡긴 통계 개선 방안 연구 용역을 진행 중이어서 개선 방안이 나올 때까지 기다리란 취지였다.
이 논란에 정통한 관계자는 "실거래가는 보통 실제 거래보다 늦게 나오기 떄문에 근본적으로 표본을 구성해 조사하는 동향 조사와 다를 수밖에 없다"며 "대신 통계적 관점에서 표본 구성이나 조사 방식의 차이에 따라 통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근본적인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결론을 내기 쉽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아무래도 국토부에서는 근본적을 고민을 하기 때문일 수 있다"며 "기존의 통계 방식을 오래 써왔기 때문에 개선방안 마련이 늦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효정 기자(hyoj@inews24.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