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금)

“책 읽고 로마 가고 있다는 독자 전화 많았다”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지난 12일 『로마인 이야기』 출간 30주년 기념 행사장의 한길사 김언호 대표. [사진 한길사]


“당시 출판부에 ‘지금 로마에 가고 있다’는 독자들의 전화가 많이 걸려왔죠. 좋은 기억입니다.”

12일 경기도 파주 출판단지에 있는 한길북하우스, 『로마인 이야기』 출간 30주년을 기념하는 ‘독자와의 만남’ 행사에서 한길사 김언호 대표는 이렇게 말했다. 『로마인 이야기』는 일본에서 1992년, 국내에선 1995년 출간된 시오노 나나미(鹽野七生·88) 작가의 대하역사평설. 로마의 창건부터 멸망까지 약 1200년의 역사를 사건과 인물 중심으로 15권에 담아냈다. 국내에서 누적 판매 부수 400만권, 전권 1136쇄에 달하는 기록을 세웠다.

이날 열린 30주년 기념행사에서 김 대표는 『로마인 이야기』의 출판 계기를 밝혔다. 그는 “90년대가 되며 세계화의 바람에 맞는 새 기획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며 “그 중에서도 『로마인 이야기』가 서양 문명의 중심에 있는 로마를 소개하기에 적절하다고 봤다”고 말했다.

현장엔 『로마인 이야기』를 만든 류재화 편집자 등 당시 관계자와 SK에너지 신헌철 전 부회장, 김미옥 작가 등의 인사가 자리했다. 신 전 부회장은 2007년 SK에너지 임직원 2000명 이상이 참여하는 독서경영 프로그램을 진행해, 2008년 『SK에너지 사람들 로마인 이야기를 읽다』를 펴내는 데 일조했다. 참석자들은 『로마인 이야기』와의 인연과 소감을 전했다. 비상계엄 이야기도 언급됐다. “지난해 비상계엄 선포로 총 든 군인들이 국회에 들어오는 것을 보며 역사적 통찰을 얻고 싶어졌다”(국립암센터 서홍관 전 원장), “역사가 회귀할 때 정지시킬 수 있는 힘이 독서의 기능이라고 생각하는데, 비상계엄 선포날 젊은이들이 많은 걸 보고 독서의 힘일 거라는 생각이 들어 기뻤다”(김미옥 작가)는 소감이 이어졌다.

이 책으로 명성을 얻은 김석희 번역가는 개인 사정으로 불참하고 류 편집자의 대독을 통해 소감을 전했다. 1994년 봄, 처음으로 『로마인 이야기』 원서를 만난 김 번역가는 “이 책을 15년간 내놓겠다는 저자의 포부에 맞춰 가장 젊었던 제가 선택됐다”며 “그 인연이 실로 행운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비상계엄 사태 후) 권력자와 지식인, 사회지도층의 민낯에 대해 생각해보게 됐다”며 “책을 다시 읽으며 로마인들의 지혜를 떠올려봐야 할 때다. 이런 현실에서 읽을 수 있는 책이 존재한다는 것은 그래도 다행”이라고 전했다. 역사소설가 시오노 나나미는 국내에서 2008년 출간을 마친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이후에도 2018년 『그리스인 이야기』, 2021년 『황제 프리드리히 2세의 생애』 시리즈 등을 통해 국내 독자를 만났다.

최혜리 기자 choi.hyeri@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