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성 자산 680억에 시총은 490억..여전한 동전주
공공IT시장 1위 굳히고 금융.엔터프라이즈 진출 계획
[ABCD 뉴프론티어] 신장호 아이티센엔텍 대표
신장호 아이티센엔텍 대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해 말 연결재무제표 기준 현금성 자산이 680억원인데 시가총액은 490억원이 안되는 회사가 있다. 지난 11일 종가 기준 주가는 749원에 그친다.
기업 규모에 비해 자산만 비효율적으로 쌓아둔 회사로 보일 법도 하지만 결코 그렇지 않다.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은 4418억원으로 3년전(2021년, 2426억원) 대비 82% 늘었다. 별도 기준으로는 2803억원 매출에 161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2021~2024년간 매출, 영업이익 증가율은 각각 36%, 200%에 달한다.
아이티센엔텍은 쌍용정보통신 시절부터 공공 IT 시장 지배력이 컸던 회사로 꼽힌다. 지난해에도 한국수자원공사 정보시스템 통합 운영 및 유지관리 용역, HUG(주택도시보증공사) 차세대 정보시스템 구축, 2024~2025년 나이스(NEIS, 교육행정정보시스템) 인프라 유지관리 등 사업을 따냈다.
제4 인터넷은행 컨소시엄에도 참여해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아이티센엔텍은 한국신용데이터(KCD)를 주축으로 한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에 출자했다. 이 컨소시엄은 지난달 예비인가 신청서를 제출해 이르면 상반기 중 결과가 나온다. 신 대표는 "컨소시엄이 예비인가를 획득하면 금융권 뱅킹 플랫폼 구축에도 도전할 것"이라고 했다.
AI 플랫폼 맞춤형 공급 사업도 본격화한다. 신 대표는 "지난해부터 GPU(그래픽처리장치)를 사서 AI 기술역량 제고에 착수했고 내부적으로 AI 코드 자동화 솔루션을 만들어 생산성을 높이고 있다"며 "대외적으로 AI에이전트 솔루션을 개발해 기관별 업무 전문성을 반영한 맞춤형 AI 플랫폼을 연내 출시하는 게 목표"라고 했다.
제조·물류·서비스 부문 공략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신 대표는 "엔터프라이즈 영역에서도 글로벌 기업들과의 전략적 협업 관계를 구축해 시장을 확대할 것"이라고 했다.
황국상 기자 gshwang@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