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정책을 하루만에 뒤집었다는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스마트폰을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밝혔다가, 사실은 반도체 관세에 포함된다고 정정하면섭니다. 현지에선 경제의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고 비판합니다.
워싱턴 정강현 특파원입니다.
[기자]
혼선이 빚어진 건, 현지시간 어제 발표된 미국 세관국경보호국의 상호관세 제외 목록 때문입니다.
실제 블룸버그통신을 비롯한 미국 언론들은 스마트폰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삼성전자와 애플이 가장 큰 수혜자란 분석 기사를 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하루 만에 다른 이야기를 했습니다.
스마트폰을 비롯한 전자제품 관세는 면제되는 게 아니라, 별도의 반도체 관세에 포함된단 겁니다.
트럼프 대통령도 스마트폰 등의 관세가 면제된다는 건 '가짜뉴스'라며 이르면 현지 시간 내일, 반도체 관세를 공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반도체 관세 결정은 어떻게 되나요?} 월요일에 매우 구체적으로 답을 드릴게요.]
트럼프 행정부 당국자들은 반도체 관세는 이미 정해진 수순이라며 지난 2일 상호관세 행정명령에 명시됐다고 주장했습니다.
[엘리자베스 워런/민주당 상원의원 : 미국 대통령이 마치 '빨간불, 초록불' 놀이하듯 오락가락하는 건 실수입니다. 그런 방식은 경제에도, 투자자들에게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영상취재 문진욱 / 영상편집 이휘수]
정강현 특파원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