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인보우로보틱스·루닛 등 수조원대 시총 기업도
레인보우로보틱스가 개발한 이동형 양팔로봇 |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최근 4년 동안 한국과학기술원(KAIST) 출신 상장기업이 20곳에 달하며, 기업가치는 10조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KAIST에 따르면 국내 최초 이족보행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한 기계공학과 오준호 석좌교수가 창업한 로봇 플랫폼 전문기업 '레인보우로보틱스'는 2021년 2월 코스닥에 입성했다.
2011년 2월 설립돼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 핵심기술을 기반으로 협동 로봇, 모바일 로봇, 이동형 양팔 로봇, 사족보행 로봇 등을 연구 개발하고 있으며 현재 5조 원의 시가 총액을 기록하고 있다.
루닛이 개발한 AI 영상 분석 솔루션 |
기계공학과 공경철 교수가 2017년 창업한 스타트업 '엔젤로보틱스'는 의료·산업 현장에서 보행 재활치료, 근력 증강 연구를 하고 있으며 지난해 3월 코스닥에 상장했다. 현재 시총은 4천200억원에 달한다.
지난해 한 해에만 엔젤로보틱스와 토모큐브 등 바이오·로봇 분야 스타트업 4개 사가 상장에 성공했다.
웨어러블 로봇 입고 걷는 엔젤로보틱스 김승환 연구원 |
교원 창업 심의, 총장 승인 절차 등의 단계를 폐지함으로써 창업 승인 절차를 간소화했고, 학생 창업의 경우 창업 휴학 가능 기간을 기존 4학기에서 무기한으로 연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창업 여건을 개선했다.
특히 시제품을 제작해 주고 외부 전문가를 매칭해 제작비를 지원하는 '패스트 프로토타이핑'(Fast Prototyping) 등 창업 프로그램을 통해 평균 2년 걸리던 시제품 제작 기간을 6개월로 단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배현민 창업원장은 "일자리 창출과 성장동력의 발굴 육성이라는 국가 과제 실현을 위해 한국 토양에 맞는 기술창업 생태계의 성공적인 모델을 정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