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 협상 중단 후 관심 집중
AI 기술 수호 의지 표명 전망
"대규모 지원 위한 정책 필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4일 대선 출마 선언 이후 첫 공개 일정으로 국내 AI 반도체 스타트업 퓨리오사AI 방문을 선택한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퓨리오사AI는 리벨리온과 함께 국내 AI 반도체 시장을 이끌고 있는 곳으로, 최근 글로벌 빅테크 '메타'의 인수·합병(M&A) 제안을 거절하면서 유명세를 치렀다.
이날 이재명 전 대표는 서울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퓨리오사AI 본사를 찾아 현장 간담회를 열 계획이다. 간담회에는 이 전 대표를 비롯해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 윤후덕 캠프 정책본부장과 이해식 비서실장 등이 참석한다. '정부와 기업의 협력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퓨리오사AI는 삼성전자와 미국 반도체 기업 AMD 출신의 백준호 대표가 2017년 설립했다. AI 반도체 설계 단계만 놓고 보면 국내에서 가장 앞서나가고 있는 곳으로 평가된다. 2021년 1세대 AI 반도체인 '워보이'를 선보였으며 지난해 8월에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업체 TSMC를 통해 차세대 제품인 '레니게이드'를 공개하기도 했다.
퓨리오사AI는 AI 반도체 기술력을 인정받아 성장 과정에서 국내 투자자들로부터 대규모 자금을 조달하기도 했다. 누적 투자금 규모는 1700억 원 수준으로, DSC인베스트먼트(241520), 한국산업은행, TS인베스트먼트(246690), 퀀텀벤처스코리아, 코리아오메가투자금융, 한국투자파트너스 등이 주요 투자자다. 기업가치는 약 8000억 원을 인정받았다.
그러던 와중에 올해 초 메타와 퓨리오사AI에 M&A 협상을 진행했던 것이 시장에 알려지면서 큰 주목을 받게 됐다. 메타는 퓨리오사AI를 인수해 자체 AI 데이터센터의 성능을 높이려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메타는 퓨리오사AI에 약 1조 2000억 원을 제시하며 인수를 제안했지만, 백 대표는 이를 거절하고 독자적인 기술 개발을 통한 장기적 성장을 선택했다. 이재명 대표는 최근 대선 출마 기자회견에서 퓨리오사AI를 염두에 두고 "국내 기술 기업이 국내에서 투자를 유치해 성장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번 이 전 대표의 퓨리오사AI 방문은 기술 주권을 지키고, 미래 산업의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의지를 상징적으로 드러낸 것으로 평가된다. 앞으로 정치권이 AI 반도체를 포함한 첨단 기술 산업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육성하는 데 힘을 보탤 것으로 기대된다. 한 벤처투자 업계 관계자는 "이러한 정치권의 퓨리오사AI에 대한 관심이 단순한 보여주기용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국내 AI 반도체 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정책으로 이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류석 기자 ryupro@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