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장소 합의하고 정부 이전 작업 착수해야"
"서울과 세종에 집무실 둬야…청와대로 돌아갈 수도"
"청와대 재이전, 시간도 비용도 용산 이전 비해 적어"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 대선 출마를 선언한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14일 서울 여의도 경선 선거사무실에서 열린 대통령 집무실 관련 입장발표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4.14. kch0523@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시스]신재현 오정우 기자 =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로 나선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14일 "내란의 본산인 용산의 대통령실을 단 하루도 사용하지 않을 것을 여야가 함께 약속할 것을 제안한다"라고 밝혔다.
김 전 지사는 이날 오전 대선 캠프인 서울 영등포구 한흥빌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여야가 장소만 빨리 합의하고, 정부가 바로 이전 작업에 착수한다면 다음 대통령은 취임과 동시에 용산이 아닌 집무실에서 임기를 시작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김 전 지사는 용산 대통령실을 사용하면 안 되는 이유를 두고 "국민의힘 대선 주자들도 현재 대통령실 사용 불가에 대부분 동의한다"라고 설명했다. 김 전 지사는 "불법으로 쌓아 올린 내란의 소굴에서 새 대통령이 집무를 시작한다는 건 내란의 잔재와 완전히 결별하지 못했다는 뜻"이라고 부연했다.
김 전 지사는 "용산 대통령실 인근에는 여전히 주한미군 시설이 존재해 주한미군 기지 재배치 관련 비용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라며 "용산 대통령실 사용을 중지하는 것으로 추가 비용 사용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라고 했다.
세종에서는 대통령 세종 집무실을 확대하거나 총리 집무실을 임시 집무실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김 전 지사의 설명이다.
김 전 지사는 "중장기적으로는 2027년 준공 예정인 세종 제2집무실로의 이전이 가능하지만 한시적으로 청와대로 재이전하는 게 가장 바람직하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청와대 개방과 함께 일부 시설이 철거돼 재설치 부담이 발생하기는 하지만 완전히 새로 설치해야 하는 다른 곳에 비해 적은 비용으로, 빠르게 이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라고 말했다.
국회를 향해서는 "서울과 세종의 사용 가능한 공간에 대한 검토와 합의가 필요하다"라며 "대통령실 이전에 따른 예산 사용을 위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라고 요구했다.
김 전 지사는 "여야 후보들이 입장을 밝히고, 후보군이 축약되면 국회의장 주도로 여야 지도부가 즉각 협의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라며 "용산으로의 이전도 불과 50여 일 만에 이뤄졌다. 청와대로의 재이전은 시간도, 비용도 용산 이전에 비해 적게 들 수밖에 없다"라고 덧붙였다.
김 전 지사는 기자회견을 마친 뒤 취재진과 만나 이재명 전 대표와 사전에 교감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지난 2월 이 대표와 면담했을 당시 행정수도가 이전되면 대통령실은 당연히 이전되는 것이기에 행정수도를 이전할 수 있는 방안이 뭐가 있을지, 개헌과 법률을 통한 이전과 관련해 이 전 대표와 논의했다"라고 설명했다.
김 전 지사는 "이번 대선에서 개헌이 함께 이뤄졌다면 이 문제도 개헌을 통해서 정리하는 게 가장 빠른 일이겠지만 국힘이 내란 세력과 결별하지 않으면서 대선을 통한 개헌이 어려워졌다"라고 말했다.
김 전 지사는 "중요한 건 법률을 통한 행정수도 이전 추진"이라며 "그와 함께 헌법재판소 새로운 판단을 받아보는 것이 이전하는 방안으로 가장 빠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공감언론 뉴시스 again@newsis.com, friend@newsis.com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