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가공식품 가격 인상에 물가 상승
사전 협의 등 '짬짜미' 여부 조사 착수
업계 "원재료가 따른 것… 담합 아냐"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 6일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달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전년 동월 대비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3.6%로 2023년 12월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공정거래위원회가 식품업체의 가격 담합 의혹과 관련해 본격 조사에 나섰다. 최근 식품업체의 잇따른 가격 인상으로 국민 먹거리 가격 부담이 커지고 있는 상황과 관련해 불공정 행위 여부를 집중적으로 살펴보는 것으로 파악된다.
14일 업계 등에 따르면 공정위는 이날 농심, 롯데웰푸드, 오리온, 크라운제과, 해태제과 5곳에 조사관을 보내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 이들 업체가 사전 협의 후 담합해 가격을 올린 것이 아닌지 의심 정황을 토대로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통계청이 집계하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지난달 전년 대비 물가 상승률은 2.1% 상승해 전월보다 0.1%포인트 올랐다. 여기엔 가공식품이 전월보다 0.7%, 1년 전에 비해선 3.6% 뛴 영향이 컸다. 가공식품이 기여한 정도를 보면 물가 상승률에서 0.3%포인트 밀어올리는 역할을 했다.
지난해 말부터 최근까지 식품업체들은 앞다퉈 가격을 올렸다. 이달 초에도 남양유업, 농심, 롯데리아, 오뚜기, 오비맥주 등이 가격 인상 방침을 밝혔다. 가공식품 품목별로 보면 김치(15.3%), 커피(8.3%), 빵(6.3%), 햄·베이컨(6%) 등의 물가 상승이 두드러진다.
정부는 비상계엄, 탄핵정국 등으로 혼란한 틈을 탄 식품업체 가격 인상이 물가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공정위 조사 대상이 된 한 식품업체 관계자는 "지난해 말 국제 카카오 가격 급등으로 생산 단가가 상승함에 따라 초콜릿류 제품 일부 가격을 인상했을 뿐 담합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조사에 성실히 임해 오해가 있는 부분에 대해 사실관계를 잘 소명하겠다"고 말했다.
세종= 이유지 기자 maintain@hankookilbo.com
박경담 기자 wall@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