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국립대학교는 김선원 교수(항노화 바이오소재 세포공장 연구센터장)와 국립순천대학교 이상석 교수 연구팀이 반추위(소의 첫 번째 위)에 서식하는 특정 미생물(메탄자화균)을 활용해 메탄 배출량을 부작용 없이 매우 효과적으로 낮추는 데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경상국립대 김선원 교수와 국립순천대 이상석 교수는 소 트림 속의 메탄을 영영분으로 바꾸는 획기적인 기술을 개발했다. 사진은 연구과정 개념도. 경상국립대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같은 내용은 세계적인 학술지 ‘애니멀 마이크로바이옴(Animal Microbiome)’ 최신호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알려졌다.
전 세계 메탄 배출량의 37% 이상이 소의 트림이나 방귀 등에서 나오지만, 기존의 메탄 저감 노력은 메탄 생성을 억제하는 화학물질이나 특정 사료 첨가에 집중돼 왔다.
김선원-이상석 교수 연구팀은 발상의 전환을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이 미생물은 메탄을 먹이(탄소원)로 삼아 자신의 영양분(단백질 등)으로 전환하는 놀라운 능력을 지녔다.
연구팀은 “반추위는 완전한 혐기 상태가 아니라, 위벽 근처 등 산소가 존재하는 미세 환경이 있으며, 이곳에서 메탄자화균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수년간의 노력 끝에 한우의 반추위에서 메탄 분해 능력이 뛰어난 메탄자화균과 이를 돕는 메틸영양균(Methylotroph)의 복합체(컨소시엄 NC52PC)를 분리하고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메탄자화균을 이용한 반추동물 메탄 저감 시도가 세계 최초로 성공한 사례라는 점에서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연구 책임자인 김선원 교수는 “이번 연구는 단순히 메탄 배출을 줄이는 것을 넘어 배출될 메탄을 동물이 다시 이용할 수 있는 영양분으로 전환시키는 ‘자원 선순환’의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기존 통념을 깨고 반추위 마이크로바이옴의 새로운 가능성을 밝혀낸 이 연구는 친환경 축산을 목표로 하는 사료 기업들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2030년까지 메탄 배출량 30% 감축을 목표로 하는 ‘국제 메탄 서약’ 달성에도 크게 기여할 뿐만 아니라 환경 부담을 줄인 지속 가능한 미래 축산업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진주=강승우 기자 ksw@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