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 "트럼프 관세 대상국 포섭도 시도…한국 등 美동맹 포함"
트럼프 당선인과 시진핑 주석 |
(서울=연합뉴스) 이봉석 기자 = 중국 관가가 미중 무역전쟁 격화에 따라 '전시모드'에 돌입했다고 로이터통신이 14일 소식통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소식통 2명은 중국 외교부와 상무부 관료들에게 휴가를 취소하고 핸드폰을 24시간 켜두라는 지시가 내려졌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미국 문제를 다루는 부서도 보강됐는데, 여기에는 트럼프 1기 때 미중 문제를 담당했던 공무원들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정부는 또 관료들에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부과에 맞서도록 다른 국가들을 유도하기 위한 외교전을 강화하라는 지시도 하달했다.
이 가운데는 유럽과 일본, 한국 등 전통적인 미국 동맹국들도 포함됐다.
이와 관련해 중국 외교부 마오닝 대변인은 지난주 엑스(X·옛 트위터)에 마오쩌둥 전 주석의 발언과 영상을 여러 차례 공유했다.
이 가운데는 "얼마나 오래 가든 우리는 절대 굴복하지 않을 것", "미국은 종이호랑이에 불과하다" 등이 포함됐다.
마오쩌둥의 영상 올린 중국 외교부 대변인 |
중국은 지난 몇 개월간 트럼프 행정부와 고위급 소통 채널을 구축하고 미국과 윈-윈(Win-win)하는 무역 관계를 지키려 노력해왔다.
이런 중국이 전면적인 반격으로 태세를 전환한 계기는 현지시간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이 '경제적 독립기념일'이라고 주장한 상호관세 발표일 이후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중국은 추이톈카이 당시 미 주재 중국대사와 트럼프 대통령의 사위인 재러드 쿠슈너 등 미국과 여러 고위급 소통 채널을 두고 있었지만, 현재는 이런 채널이 없다고 로이터는 지적했다.
셰펑 주미 중국대사가 중국 내 최대 생산공장을 가진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와 접촉을 시도했으나 성과를 얻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는 중국이 미국과 협상 모색에서 보복 관세를 포함한 전면전으로 전환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미국과 중국 관료를 포함해 10여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anfour@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