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오락가락 관세 정책'으로 인해 시장 혼란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으로선 이러한 불확실성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직접 반도체에 대한 품목별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상호관세 면제' 여부를 둘러싼 논란을 정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원 안에서 기자들과 만나 스마트폰과 반도체 등에 대한 관세가 "머지않아 시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11일 밤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이 스마트폰, 컴퓨터 등 특정 물품을 상호관세에서 제외한다고 공지하면서 불거진 혼란을 정리한 것이다.
이들 품목은 상호관세에서 제외하되, 이미 별도 관세가 적용되는 철강·알루미늄, 자동차 등과 마찬가지로 '반도체'라는 별도 범주로 품목별 관세 대상에 넣겠다는 설명이다.
반도체 이외에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의약품, 구리, 목재 등의 품목관세에 대한 불확실성도 여전한 상태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해방의 날'이라고 명명된 행사에서 한국 25% 등 각국에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했는데 각국 관세율이 적힌 패널과 백악관이 공개한 행정명령 부속서에 표기된 관세율이 달라 혼란을 일으켰다.
이 같은 혼란에 세계 최대 헤지펀드 브리지워터어소시에이츠 설립자인 레이 달리오는 세계 경제 전망에 대한 비관적 의견을 제시했다.
달리오 설립자는 이날 미국 NBC방송 시사 프로그램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미국 부채 증가가 새로운 일방적 세계 질서를 초래하고 있다"며 "현 상황을 제대로 다루지 않으면 경기 침체보다 더 나쁜 일이 벌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에 대한 우려는 전방위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무엇보다 관세 부과와 유예가 수시로 반복되면서 기업들로선 장기적인 경영 계획을 세우기가 어려워졌다.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대통령의 전방위적인 관세 폭탄 앞에 그간 생산기지를 다변화해온 기업들조차 속수무책인 상황이 됐다고 보도했다. 동남아로 생산기지를 이전했던 미국 업체들이 동남아 국가에도 고율의 관세가 부과되자 더 이상 '피난처'를 찾기 어려울 지경에 이르렀다는 분석이다.
정치경제학자인 마크 블라이스 브라운대 국제경제금융 교수는 NYT에 "미국 정부가 방향을 잃었다고 전 세계가 느끼고 있다"며 "미국 국채는 어떤 뉴스에도 흔들리지 않던 투자처였지만, 이제는 시장 공포에 따라 매도되는 '위험자산'으로 전락했다"고 말했다. 사이먼 존슨 매사추세츠공과대 경제학과 교수는 NYT에 "시장이 가장 불안해하는 것은 관세 구조의 비논리성과 임의성"이라며 "정책결정자들은 자신들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조차 모르고, 전혀 신경도 쓰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고 지적했다.
[위싱턴 최승진 특파원 / 서울 김덕식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