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토)

'트럼프 관세'에 뭉치는 아시아… 韓, 중·일·필리핀 이어 베트남과 장관급 회담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안덕근 산업장관, 베트남 산업무역부 장관과 '산업공동위'·'FTA공동위' 개최

한-베 교역액 1500억달러 달성 MOU… '트럼프 관세 대응' 수출기업 비용절감·통관절차 간소화 협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베트남과 장관급 회담을 갖고, 양국 경제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지난달 30일 한중일FTA 협상 재개를 추진키로 한 데 이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부과에 대응해 아시아 주요 교역국들과 협력을 강화하는 모습이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4일 베트남 산업무역부를 방문, 응우옌 홍 지엔 산업무역부 장관과 '제14차 한-베 산업공동위', '제8차 한-베 FTA공동위원회'를 잇따라 개최하고 양국 경제협력 확대 방안을 협의했다.

이번 장관급 회담에선 2030년까지 양국 교역액 1500억달러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이행방안, 베트남 원전 협력, LNG 발전 협력 및 청정에너지 협력 등과 함께, 유통분야 국장급 정책회의 재개와 섬유·의류 산업 투자 협력 등에 합의했다.

특히, 트럼프 관세에 대응해 수출기업의 비용절감과 통관절차 간소화를 위한 한-베FTA 개정, 농축산물 수출입 품목 확대, 양국 수입규제 현황 등 주요 현안을 점검하고, 양국 기업들의 한-베트남 FTA 활용 제고를 위한 협력방안도 논의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베트남 방문에서) 정부간 2건, 기관간 1건의 MOU를 체결함으로써 무역, 원전 및 전력망 ·에너지 신산업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미국의 관세 대응 협의와 관련해선 "(트럼프 상호관세 대응 차원은)아니라고 할 수 없다"면서 "우리의 주요 교역국인 베트남에 46% 고율의 트럼프 관세가 부과된데 따른 협력 방안도 논의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관세에 대응해 베트남과의 관세율을 직접 조정하지는 않겠지만, 수출기업의 비용절감과 통관절차 간소화 등 양국 무역 등 경제협력을 확대하는 방안을 협의했다"고 덧붙였다.

안 장관은 아울러 베트남 현지에 진출한 삼성전자, LG전자 등 우리 기업들을 만나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등 대미 통상현안 관련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지원방안도 논의했다. 안 장관은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미국 정부는 물론 베트남 정부와도 고위급 회담 및 정부 간 협의체를 통해 지속 소통하겠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앞서 지난달 30일 중국, 일본과 경제통상장관회의를 갖고 포괄적이고 높은 수준의 한중일FTA 협정 재개에 협력하기로 한 데 이어, 지난 7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필리핀 정부 대표단과 고위급 회담을 갖고 필리핀과 교역 투자와 공급망 협력을 가속화하는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이 같은 아시아 주요국들의 협력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 대응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한중일FTA 협력과 관련해 미국 민주당 소속 브라이언 샤츠 상원의원은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고강도 관세 정책을 비판하면서 "수년 만에 중국, 일본, 한국이 도널드 트럼프에 대한 대응으로 3국 자유무역에 대한 협력 가능성을 논의했다"며 "가장 충격적인 이미지 중 하나"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샤츠 의원은 특히 "한중일 3국이 미국에 대항해 뭉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

이와 관련해 정부 관계자는 "한중일FTA 협상이 실제 타결될지와 관계없이 각국별 다양한 의미가 있다"면서 "글로벌 통상 환경이 변화하는 시기에 우리가 취할 수 있는 여러 옵션 중 하나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