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자료사진]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정책은 미국의 제조업을 되살리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경제학자들은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현지시간 13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1950년대 미국 민간 부문 일자리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35%였으나 70여 년 사이 그 비중이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현재 미국 내 제조업 일자리는 1천280만 개로, 이는 민간 부문 일자리의 9.4%에 해당한다는 게 WSJ의 설명입니다.
또 "경제학자들은 수백 년 동안 관세의 광범위한 사용에 반대해 왔으며 이는 변하지 않을 것"이라며 "그들이 보기에 (관세로) 소비자와 기업이 지불하는 가격이 높아지면 결국 미국산을 포함한 다른 상품과 서비스 지출이 줄어들게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WSJ은 미국이 '제조업 강국'의 지위를 상실한 과정을 조명하면서 "1950년대 이후 제조업이 미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줄어들기 시작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미국인들 사이에서 경제적 여유가 생겨나면서 여행, 외식 등 서비스 부문 지출이 늘어난 것도 제조업 비중 감소의 한 요인으로 꼽혔습니다.
이후 1980년대 들어 미국 제조업체들은 인건비가 낮은 나라들과 경쟁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됐고 1990년대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으로 멕시코산 제품에 대한 관세가 낮아지면서 경쟁이 심화됐다는 게 WSJ의 설명입니다.
하지만 1980년대와 1990년대의 글로벌 경쟁 심화도 2000년대 미국 제조업을 강타한 '차이나쇼크'와 비교하면 아무것도 아니라는 게 WSJ의 분석입니다.
중국은 2001년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후 저임금을 무기로 '세계의 공장'으로 부상했으며 가구, 소형 가전제품 등을 생산하는 미국 제조업체들은 중국발 충격으로 휘청였습니다.
미국의 산업이 서비스업 중심으로 이미 재편된 만큼 트럼프 대통령이 의도한 대로 제조업 일자리가 늘어나더라도 민간 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과거와 비교해 여전히 낮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습니다.
#트럼프 #미국 #상호관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예림(lim@yna.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