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일부 제품엔 유연성…반도체 관세 곧 발표"
[앵커]
트럼프의 관세 정책, 도무지 종잡을 수 없습니다. 상호 관세 대상에서 스마트폰은 빠진다고 했다가 새로 발표할 반도체 관세 대상에 스마트폰이 들어간다고 말을 바꾸더니, 이번엔 유연성이 있을 수 있다고 여지를 남겼습니다.
자고 나면 뒤집히는 관세 논란, 먼저 워싱턴 정강현 특파원입니다.
[기자]
트럼프 행정부는 현지 시각 13일, 조만간 시행될 반도체 관세에 스마트폰도 포함될 거라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스마트폰을 비롯한 전자제품 관세가 면제된다는 건 '가짜뉴스'라며 이르면 현지시간 오늘(14일), 반도체 관세를 상세히 공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반도체 관세 결정은 어떻게 되나요?} 월요일에 매우 구체적으로 답을 드릴게요.]
주목할 점은, 특정 제품의 관세 면제 가능성입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아이폰과 태블릿 등 관세는 어떻게 되나요?} 곧 발표될 겁니다. {일부 제품에 유연성이 있나요?} 일부 제품에 대해선 그렇습니다.]
이 발언을 두고 미국 기업인 애플만 특정해 관세를 면제하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습니다.
앞서 지난 2일 상호관세 발표 직후, 미국 내 투자 분석 기관에선 아이폰의 중국 생산 비율이 80%가 넘어서는 애플이 관세를 면제 받을 가능성이 제기된 바 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기업들과 논의할 예정"이란 단서를 달았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논의를 할 것이고 기업들과도 이야기할 예정입니다.]
반도체 관세가 최종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부과될지는 여전히 불분명합니다.
특히 월스트리트 저널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가 상호관세율을 따질 때 미국의 서비스무역 흑자를 의도적으로 뺀 것으로 드러나면서 '꼼수' 관세란 비판도 커지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해 미국이 상품무역에서 662억 달러 적자를 본 걸 근거로, 한국의 상호관세율을 25%로 책정했지만 서비스무역 흑자 107억 달러를 포함할 경우, 상호관세는 19%로 낮아지는 걸로 나타났습니다.
[화면출처 WSJ]
[영상취재 문진욱 / 영상편집 배송희 / 영상디자인 최수진]
정강현 특파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