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경기 광명에서 지하터널 공사 현장이 무너져 50대 작업자가 실종된 지 나흘째입니다. 현장에 비가 계속 내려서 구조 작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신용일 기자, 지금 시간이 계속 흐르고 있는데 구조 여건이 여의치가 않다고요?
<기자>
붕괴 사고가 난 지 80시간이 다 돼 가지만, 실종자를 찾았다는 소식은 아직 들어오지 않고 있습니다.
붕괴 규모가 워낙 컸던 데다, 비까지 내리면서 수색 작업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임광식/광명소방서 소방행정과장 : 기상 변화와 사고 현장에 있는 각종 자재물들, 지반 침하, 균열 여러 복합적인 위험 요인들이 있어서 주변 위험 요인들부터 하나씩 하나씩 제거해나가다 보니까 시간이 소요되고.]
당국은 실종된 포스코이앤씨 소속 50대 작업자가 지하 30~40m 지점의 컨테이너 안에 있는 걸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하 진입로 확보 작업에 주력했는데 구조대원 투입이 여의치 않은 상황입니다.
비가 오면서 지반이 많이 약해진 상태인 데다 또 철근과 토사가 많이 쌓여 2차 사고가 우려되기 때문입니다.
<앵커>
그곳 주민들 불안도 계속 커질 것 같습니다.
<기자>
실종자 수색이 계속되며 복구 작업이 시작되지 못하자 인근 주민들 불안도 커지고 있습니다.
[인근 주민 : 불안하죠 여기 주변에도 이렇게 계속. (오피스텔) 계약 기간이 얼마 안 남았는데, 이거를 다시 연장을 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
인근 초등학교는 오늘(14일)과 내일 휴교에 들어갔고요.
사고 현장 근처 구석마을에는 대피 명령이 여전히 내려져 있고 일부 세대와 상가의 도시가스 공급도 중단된 상태입니다.
<앵커>
왜 사고가 났는지 그 원인도 밝혀져야 할 텐데 경찰 수사는 어떻게 되고 있습니까?
<기자>
경찰은 붕괴 사고 원인과 책임을 규명하는 입건 전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사고 당일 현장 작업자 10여 명을 불러 기초 조사를 진행했고요.
시공사와 시행사 등 업체를 상대로 붕괴 전 점검이 제대로 진행됐는지, 안전 매뉴얼은 있었는지 등을 따지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배문산, 영상편집 : 정성훈)
신용일 기자 yongil@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경기 광명에서 지하터널 공사 현장이 무너져 50대 작업자가 실종된 지 나흘째입니다. 현장에 비가 계속 내려서 구조 작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신용일 기자, 지금 시간이 계속 흐르고 있는데 구조 여건이 여의치가 않다고요?
<기자>
붕괴 사고가 난 지 80시간이 다 돼 가지만, 실종자를 찾았다는 소식은 아직 들어오지 않고 있습니다.
붕괴 규모가 워낙 컸던 데다, 비까지 내리면서 수색 작업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당국은 실종된 포스코이앤씨 소속 50대 작업자가 지하 30~40m 지점의 컨테이너 안에 있는 걸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하 진입로 확보 작업에 주력했는데 구조대원 투입이 여의치 않은 상황입니다.
비가 오면서 지반이 많이 약해진 상태인 데다 또 철근과 토사가 많이 쌓여 2차 사고가 우려되기 때문입니다.
그곳 주민들 불안도 계속 커질 것 같습니다.
<기자>
실종자 수색이 계속되며 복구 작업이 시작되지 못하자 인근 주민들 불안도 커지고 있습니다.
인근 초등학교는 오늘(14일)과 내일 휴교에 들어갔고요.
사고 현장 근처 구석마을에는 대피 명령이 여전히 내려져 있고 일부 세대와 상가의 도시가스 공급도 중단된 상태입니다.
<앵커>
<기자>
경찰은 붕괴 사고 원인과 책임을 규명하는 입건 전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사고 당일 현장 작업자 10여 명을 불러 기초 조사를 진행했고요.
시공사와 시행사 등 업체를 상대로 붕괴 전 점검이 제대로 진행됐는지, 안전 매뉴얼은 있었는지 등을 따지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배문산, 영상편집 : 정성훈)
신용일 기자 yongil@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