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미 부서에 트럼프 1기 경험자도 배치
"중국, 수출에서 '내수 소비 시장'으로 성장 동력 전략 전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4일 베트남 하노이에 도착했다. 2025.04.14 ⓒ 로이터=뉴스1 ⓒ News1 정은지 특파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정지윤 기자 =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전쟁'에 대응해 중국의 정부 관료들이 '전시 체제'에 들어갔다는 전언이 나왔다.
1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복수의 소식통은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정책에 대비해 중국 정부가 자국 관리들을 '전시 체제'에 두고 외교적 공세를 주문했다고 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외교부와 상무부 등 관련 부처 공무원들에게는 휴가 취소 및 24시간 전화 대기령이 내려졌다. 특히 대미 전담 부서에는 트럼프 1기 시절 무역 전쟁을 경험한 공무원들을 포함한 인력도 충원됐다.
중국 외교부는 여러 국가에 대미 연대 요청 서한을 발송한 것으로도 전해졌다. 중국은 유럽연합(EU), 일본, 한국 등 미국의 동맹국들에도 외교 접촉을 시도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어 "이 무역전쟁은 미국이 촉발하여 중국에 강요한 것"이라며 "미국이 대화와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면 과도한 압력을 가하는 것을 멈춰야 한다"고 전하며 미국에 대항해 세계가 결집해야 한다는 점을 촉구했다.
이러한 중국의 즉각적인 대응은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무역 전쟁을 겪었던 경험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최근 중국은 미국산 농산물과 영화 수입을 제한하고 희토류 수출 규제를 강화하는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보복 조치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14억 인구의 내수 시장을 앞세우며 미국의 관세 전쟁을 돌파하겠다는 전략이다. 로이터는 중국 정부가 국민들에게 가계 소비 증대를 장려하며 성장 동력을 수출에서 소비로 전환하려 한다고 분석했다.
정부 관리들은 소셜미디어에 1953년 마오쩌둥 전 주석이 "이 전쟁이 얼마나 오래 지속되든 절대 굴복하지 않을 것"이라며 "완전히 승리할 때까지 싸울 것"이라고 연설하는 영상을 올리며 반미 결집을 독려했다.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