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상호관세 대상서 폰·PC 등 면제
트럼프 "예외 아냐"…반도체 관세 부과 예고
오락가락 관세 정책에 불확실성 확대
14일 반도체 관세 발안 예고
이번 주 기업 실적, 소매판매 지표 주목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날 뉴욕 주식 시장에서 오전 10시1분 현재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37.84포인트(0.84%) 상승한 4만550.55를 기록 중이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63.94포인트(1.19%) 오른 5427.3,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34.74포인트(1.4%) 뛴 1만6959.2에 거래되고 있다.
종목별로는 애플이 4.55% 뛰고 있다. 이번 전자제품에 대한 상호관세 면제 조치로 중국에 아이폰 생산기지를 둔 애플이 가장 큰 혜택을 볼 것으로 예상되면서 매수세가 몰리고 있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트럼프 대통령과의 두터운 친분을 바탕으로 이번 관세 면제를 받아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엔비디아는 1.76%, 테슬라는 2.73% 오르는 중이다. 구글 모회사 알파벳과 마이크로소프트(MS)는 각각 2.48%, 1.01% 강세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자신이 만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지난 금요일(4월11일) 과세 예외를 발표한 적이 없다"며 "우리는 다가오는 국가안보 관세 조사에서 반도체, 전자제품 공급망 전체를 살펴볼 것"이라고 밝혔다. 이후 대통령 전용기인 에어포스원에서 취재진과 만나선 반도체 관세를 "머지않은 미래에 시행할 것"이라며 관세율을 "다음주 발표하겠다"고 했다. 일부 전자제품 상호관세 면제 조치로 관세 정책에서 후퇴했다는 지적이 나오자 직접 해명에 나선 것이다. 반도체 관세 부과 계획과 관련해 그는 앞서 "월요일(14일)에 답을 주겠다"고 말했었다.
이를 두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오락가락 한다는 비판이 나오자 트럼프 대통령과 행정부 관계자들이 직접 나서 이들 전자제품에 대한 반도체 관세 부과 의지를 밝힌 것이다. 하지만 반도체가 탑재된 전자제품에 관세가 부과돼도 관세율이 대중 관세 145%(상호관세 125%+펜타닐 관세 20%)보다 낮을 것이란 기대감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일부 기업들에 대해서는 유연성이 있을 것"이라며 관세 조치 예외 가능성을 열어 놨다.
이번 주 투자자들의 시선은 트럼프 대통령의 새로운 관세 발언으로 쏠린다. 주식시장과 함께 국채 시장도 주시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불안에 세계 최고 안전자산인 미 국채 투매가 쏟아지고, 결국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후퇴로 이어진 만큼 최근 이상 급등한 국채 수익률 추이에 어느 때보다 이목이 집중된다.
미 국채 금리는 일단 진정세다. 글로벌 채권 금리 벤치마크인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전거래일 보다 8bp(1bp=0.01%포인트) 하락한 4.4%, 통화정책에 민감한 미국 2년 만기 국채 금리는 전일 대비 5bp 내린 3.9%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이번 주에는 14일 골드만삭스를 시작으로 유나이티드 항공, 넷플릭스 등 주요 기업 실적 발표가 이어진다. 주요 경제 지표도 발표된다. 16일에는 3월 소매판매, 17일에는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나온다.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연설도 16일 예정됐다. 18일은 '성금요일'을 맞아 미국 금융시장이 휴장한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