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단원·결혼·지휘자까지… 한국과 3번 인연 맺은 佛 지휘자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부천 필 신임 상임 지휘자 페뤼숑

/예술의전당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따뜻한 환영 감사드립니다.”

부천 필하모닉을 지휘한 프랑스 지휘자 아드리앵 페뤼숑(42)이 능숙한 한국어로 관객들에게 말했다. 10~11일 부천아트센터와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연이틀 열린 연주회였다. 간단한 인사말 정도가 아니었다. “지난해 교향악 축제에서 (부천 필을) 처음 지휘하고” 같은 말들도 정확하게 한국어로 말했다.

페뤼숑은 최근 부천 필하모닉 37년 역사상 첫 외국인 상임 지휘자로 임명됐다. 부천 필은 1988년 창단 이후 지휘자 임헌정과 말러 교향곡 전곡 연주회로 ‘클래식 붐’을 일으켰던 악단이다. 페뤼숑의 한국어 실력이 기대 이상인 이유가 있다. 팀파니 연주자 출신인 그는 2006~2016년 서울시향의 수석으로 10년간 활동했다. 서울시향 연주회에서 처음 만난 한국 소프라노 이명주(44)씨와 결혼했고, 올해는 부천 필하모닉의 상임 지휘자가 됐다. 단원, 남편, 지휘자라는 ‘세 겹의 인연’을 한국과 맺은 셈이다. 11일 예술의전당에서 만난 페뤼숑은 “한국과의 인연이 이렇게 길어질 줄은 몰랐다”며 웃었다.

그는 2003년 갓 스무 살에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의 최연소 팀파니 수석으로 임명되면서 유럽 음악계에 먼저 이름을 알렸다. 당시 이 악단의 음악 감독이 지휘자 정명훈이었다. 정명훈의 권유로 2006년부터 서울시향 팀파니 수석을 겸임하면서 한불(韓佛)을 넘나들면서 활동했다. 그는 “마에스트로(정명훈)는 우리 둘의 성(姓)을 합쳐서 농반진반으로 ‘정페뤼’라는 별명을 붙여 주셨다. 지금은 팀파니 연주자보다는 지휘자로 활동하지만, 정명훈이 불러주는 무대에선 언제나 팀파니 채를 잡을 것”이라고 했다.

당시 서울시향이 연주하고 있던 곡이 작곡가 말러의 교향곡들이었다. 2010년 말러 교향곡 2번 ‘부활’ 연주회가 열렸을 때 독창자로 무대에 선 성악가가 아내가 된 소프라노 이명주였다. 페뤼숑은 “연주회 직후 뒤풀이가 열린 이탈리아 식당에서 제 삶의 동반자이자 ‘칼라스(전설적 소프라노)’를 만났다. 그 뒤 2017년 파리에서 결혼식을 올렸다”고 했다. 아내 이씨는 “남편은 악보를 보고 또 보느라 쉬는 날에도 의자에서 엉덩이를 떼는 법이 없는 노력형”이라고 했다.

한국과 프랑스 두 명문 악단의 수석이었지만 페뤼숑은 2016년 두 악단을 떠나서 지휘라는 낯선 영역에 뛰어들었다. 그는 “제 악기를 사랑하지만 팀파니 연주자로는 연주할 수 있는 곡들이 한정될 수밖에 없었다. 오페라와 성악 같은 신세계에도 도전하고 싶었다”고 했다. 영화 음악과 뮤지컬 작곡가 에티엔 페뤼숑(1958~2019)의 장남인 그는 네 살 때 피아노를 공부하고 8~9세 때 바순을 배운 ‘만능 음악인’이다. 청소년 오케스트라에서도 바순 연주자로 활동하다가, 연습 시간에 빠진 동료 팀파니 연주자 대신에 채를 잡으면서 진로를 변경했다.

2012년부터 독일 쾰른 오페라 극장에서 부지휘자로 활동했고 그 뒤 미국·유럽의 오페라 극장과 페스티벌에서 지휘자로 경력을 쌓았다. 그는 “처음에 지휘에 대한 용기를 불어넣어 준 것도 서울시향 동료들이었다. 그들에게 치맥(치킨과 맥주)을 쏘면서 실내악이나 현대음악까지 다양한 지휘 경험을 얻을 수 있었다”고 했다. 2021년 프랑스의 유서 깊은 라무뢰 오케스트라 음악 감독으로 임명된 데 이어서, 올해 부천 필의 감독을 겸임하게 됐다. 이번에는 지휘자로 한불을 넘나드는 셈이다. 5월 14일 부천아트센터에서 라벨과 베를리오즈의 곡들로 취임 기념 연주회를 갖는다. 그는 “지휘자 임헌정 선생님 시절부터 부천 필은 베토벤·말러 같은 레퍼토리에서 탄탄한 저력을 지니고 있다. 프랑스·러시아 등 다양한 나라와 시기의 작품들을 통해서 음악적 반경을 넓히는 것이 꿈”이라고 했다.

[김성현 문화전문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